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어린이 안전 카드뉴스

안전배움터 어린이 안전 카드뉴스
인쇄하기
어린이 안전 카드뉴스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항생제 관련 안전 정보
출처 Consumer Reports
작성일 2018.08.30
조회수 1270
파일
해외  항생제 관련 안전 정보  

어린이가 항생제 부작용 때문에 응급실을 방문하는 경우가 매년 약 70,000건에 이른다. 연령별로 보면 2세 미만이 가장 많으며, 대부분은 피부 발진 등 가벼운 반응이었지만 아나필락시스 쇼크처럼 심각한 경우도 있다.

매년 어린이 대상 항생제 처방 건수는 약 7천4백만건이지만 연구에 따르면 최소 1/3은 불필요한 경우라고 한다. 항생제 남용은 항생제 내성과도 상관이 있다. 부모를 대상으로 항생제 관련 안전 정보를 안내한다.

▲ 기침과 콧물은 보통 항생제가 필요 없음
▲ 폐혈성 인후염이 아닌 일반 인후염은 항생제로 치료할 수 없음
▲ 대부분의 귀 감염에는 항생제가 효과가 없음. 귀 감염으로 인한 통증을 치료하는 데는 이부프로펜이나 아세타미노펜 같은 진통제가 더 효과적이며 대부분은 2~3일이 지나면 사라짐. 증상이 오래갈 경우 소아과를 찾아갈 것
▲ 항생제 부작용으로써 가벼운 발진, 메스꺼움, 설사, 구토 등은 흔함. 어린이가 이러한 반응을 보이더라도 일부 의사는 필요할 경우 항생제 치료를 권하기도 하며 보통 나이가 들면 반응이 약해지거나 없어짐
▲ 항생제를 처음 접하거나 새로운 유형의 항생제를 접한 후에 호흡 곤란, 목이 붓거나 맥박이 약해지고, 심각한 두드러기, 발작이 일어나거나 의식을 잃으면 이는 심각한 알러지 반응으로 당장 병원으로 데려가야 함.

 

한국소비자원 캐릭터


총 게시물 410 페이지 1 / 41
게시물 검색
어린이 안전 카드뉴스 목록
번호 제목 출처 조회수 파일 작성일
410 어린이 화상사고 예방수칙 위해정보팀 45 2025.06.16
409 유아 질식사고 예방수칙 위해정보팀 29 2025.06.16
408 스포츠 안전사고 예방수칙 위해정보팀 32 2025.06.16
407 놀이터 안전사고 예방수칙 위해정보팀 25 2025.06.16
406 가정내 익사사고 예방수칙 위해정보팀 24 2025.06.16
405 물놀이 사고 예방수칙 위해정보팀 32 2025.06.16
404 장마철 감전사고 예방수칙 위해정보팀 25 2025.06.16
403 식중독 사고 예방수칙 위해정보팀 26 2025.06.16
402 헬스장 안전사고 예방수칙 위해정보팀 23 2025.06.16
401 놀이시설 안전사고 예방수칙 위해정보팀 24 2025.06.16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