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61128-161202)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4009
게시일 2016.12.28
파일
해외 2016.11.28. ~ 2016.12.2. 주간 해외 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EFSA
(유럽)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2015년 전염성 해면상뇌증(TSE)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를 발표함. 유럽연합(EU) 내 소, 양, 염소 등을 조사한 결과 소해면상뇌증(BSE)에 걸린 소는 약 140만 마리 중 5마리, 스크래피(Scrapie)에 감염된 양은 약 32만 마리 중 641마리, 스크래피에 감염된 염소는 약 14만 마리 중 약 1,000마리인 것으로 조사됨.

BVL
(독일)

독일 연방소비자보호식품안전청(BVL)은 2015년 식품 및 소비자용 제품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함. 특히 저가 주얼리 제품 중 10~12%의 제품에서 납과 카드뮴 등 중금속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되었다고 밝히고 어린이가 작은 주얼리 제품을 삼킬 위험이 있는 만큼 제조사와 수입사에 안전기준을 준수하여 줄 것을 촉구함. 또 가정용 세제 및 세정제 262개 제품을 검사한 결과 16%에 해당하는 제품에서 이소치아졸리논(Isothiazolinone)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되었다고 밝힘.

Health Canada
(캐나다)

캐나다 보건부는 현재 3세 미만의 유아용 장난감에만 적용되고 있는 납 함량 관련 안전기준을 3~14세용 장난감, 어린이용 의류, 주얼리 및 액세서리, 기타 영유아용품 등으로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힘. 또한 카드뮴 함량에 대한 안전기준도 도입을 검토하기로 함.

AAPCC
(미국)

독극물관리센터협회(AAPCC)는 2014년에 발생한 중독사고 총 220만여 건 중 48%는 6세 이하 어린이가 피해자로 이는 어린이 1,000명 당 43명에 해당하는 수치라고 밝힘. 또 화장품이나 위생용품, 진통제, 세제 등을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사용 시 주의해 줄 것을 권고함.

EWG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90개 화학물질에 대한 기존의 위해성 검사 결과를 재평가하도록 규정한 유해물질관리법(TSCA) 개정안에 따라 우선적으로 재평가를 진행할 화학물질을 선정하였다고 밝힘. 이번에 선정된 1,4-디옥산(1,4-Dioxane), 1-브로모프로판(1-Bromopropane) 등 총 10종의 화학물질은 발암물질이라는 의심을 받고 있음.

소비자청
(일본)

소비자청은 CORONA사 석유스토브 화재 발생 건, HP사 노트북 화재 발생 건, MITSUYOSHI사 조명기구 화재 발생 건, YAMAZEN사 콘센트 부착 화장대 화재 발생 건 등에 대하여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라고 밝힘. 이 중 CORONA사 석유스토브는 장기간 사용 시 연료 주유구 변형 가능성이 있어 2008년부터 리콜이 진행 중인 제품임.

소비자청
(일본)

소비자청은 CORONA상사 전자레인지 화재 발생 건, 미쓰비시사 에어컨 화재 발생 건, RONNE JAPAN사 충전식 발열장갑 화재 발생 건, OTOMO사 자전거 앞바퀴 잠김(휠락)으로 인한 사고 발생 건, 산요사 세탁기 화재 발생 건 등에 대하여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라고 밝힘.

소비자청
(일본)

소비자청은 난방기구 사용과 관련하여 화상을 비롯한 어린이 부상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히고 보호자의 주의를 당부함. 또 넘어지며 난방기구에 머리를 부딪히거나 골절을 입지 않도록 신경 써 줄 것을 권고함.

후생노동성
(일본)

후생노동성은 검역 과정에서 터키산 피스타치오 가공품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 결과, 1급 발암물질인 아플라톡신이 검출되어 해당 제품 10kg전량의 통관을 보류 중이라고 밝힘.

CFDA
(중국)

중국 국가식품의약품감독관리총국(CFDA)은 과일 및 과일 가공품, 건강보조식품, 식용유, 유지, 유제품, 콩 가공제품 등의 샘플 459개를 검사한 결과를 발표함. CFDA는 검사 결과 인터넷 쇼핑몰 징둥(京東)에서 판매된 건포도에서 인공착색료 타트라진(Tartrazine)이 검출되는 등 총 7개 제품이 기준에 불합격하였다고 밝힘.

MOHW TW
(대만)

위생복리부는 정식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밀수되어 유통되는 일본산 식품을 구입하지 말 것을 권고함. 식품 포장에 적힌 일련번호의 알파벳이 원산지를 표기한 것은 맞지만 인터넷 상의 루머처럼 알파벳 K가 후쿠시마산 식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해명함.

CFS
(홍콩)

식품안전센터(CFS)는 아이스크림을 검사한 결과, 기준치를 초과하는 대장균이 검출됨에 따라 문제가 된 제품의 판매를 중단하도록 하였다고 밝힘.

CFS
(홍콩)

CFS는 한국, 헝가리, 인도, 스웨덴 등에서 고병원성 조류독감 발생 사실이 확인됨에 따라 이들 국가로부터의 가금류 및 가금류 가공품, 계란 등의 수입을 금지한다고 발표함.

Consumer NZ
(뉴질랜드)

Consumer NZ는 호주 및 뉴질랜드 정부가 팜유와 관련된 라벨표기 제도를 당분간 그대로 유지하기로 한 데 대하여 우려를 표시함. 뉴질랜드의 현 제도는 팜유를 사용해 생산된 가공식품 라벨의 원료표기에 팜유 사용 사실을 명시하지 않고 단순히 식물성 기름으로 표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기름야자나무 농장은 산림파괴와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서식지 파괴 등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EU 등의 국가는 팜유사용 여부를 명시하도록 라벨표기제도를 변경한 바 있음.



총 게시물 1130 페이지 1 / 113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30 2025년 6월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27 37
1129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3 66
1128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1 63
1127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59
1126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56
1125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42
1124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26 230
1123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17 223
1122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26 240
1121 2025년 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13 270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