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80122-180126)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2828
게시일 2018.01.29
파일
해외 2018.1.22. ~ 2018.1.26.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EFSA
(유럽)

식품첨가제 히드록시안트라센(hydroxyanthracene) 파생물의 위해성을 평가했음. 히드록시안트라센은 DNA를 손상시키고 암을 일으킬 수 있음. 알로에나 차풀과 같은 식물 유래 성분으로 완화제 효과 때문에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물질임.

EFSA
(유럽)

’08~15년 오염된 즉석식품의 섭취로 75세 이상 노인과 25~44세 가임기 여성의 리스테리아 식중독 감염 사례가 증가함. 연구진은 이런 추세가 암과 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있는 4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증가했으며, 즉석식품 소비가 늘어났고 일부 국가에서 식중독 감시 시스템이 개선된 요인에 있다고 분석했음. 대부분이 훈제 및 저장 생선과 열처리한 고기와 치즈를 통해 식중독에 걸렸음. 리스테리아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품을 5도 미만의 냉장 온도에 보관할 것을 권장함.

EFSA
(유럽)

식품 안전과 동식물 건강 분야에서 시행하는 과학적 평가의 불확실성을 다루는 통합 접근법을 개발했음. 이는 식물 해충, 미생물, 화학물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과학적 권고의 투명성을 높이고 의사결정 시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됨.

Health
Canada
(캐나다)

2018.1.21~27.을 국가금연주간으로 지정하고 흡연자의 금연을 독려하고 있음. 캐나다 정부는 2035년까지 흡연률을 5% 미만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금연을 돕기 위한 핫라인, 온라인 상담 채널을 운영하는 등 여러 방면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Transport
Canada
(캐나다)

화염성 물질 등 위험 물질 운송 사고가 발생했을 때 처음으로 대처하는 사람이 취해야 하는 안전 조치 안내서를 발행함. 이 내용은 2017년 캐나다 교통부가 발간한 안전 의식 키트에 넣어 관계자와 지역사회에 교부할 예정임.

NIH
(미국)

많은 이들이 체중 감량을 하려고 다이어트 보조제를 섭취함. 다이어트 보조제에 주로 넣는 성분의 효능과 안전성을 검증함. 살을 빼려고 다이어트 보조제를 먹을 생각이 있다면, 특히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간질환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중요함.

NPIC
(미국)

살충제를 쏟았을 때, 양과 노출 대상에 따라 참고할 수 있는 정보원을 알려줌. 사람이 중독된 경우, 애완 동물이 중독된 경우, 청소 방법, 야생동물이 중독된 경우와 환경 사고로 분류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채널을 안내하고 있음.

NPIC
(미국)

살충제 사용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 1)살충제를 쓸 때는 표시사항을 읽어보고 2)필요할 경우 방호복과 장비를 사용함 3)제품을 사용할 때는 어린이와 애완동물을 곁에 두지 말고 4)사용 후에는 손, 얼굴과 옷을 씻어야 함 5)다른 사람이 집에 살충제를 도포할 경우 그 공간을 얼마나그대로 둬야 하는지 등 지켜야하는 사항에 대해서 물어볼 것.

NSW
(호주)

호주의 날 국경일을 맞이해 야외 바비큐를 하는 사람이 많음. 여름은 박테리아가 증식하기 좋으므로, 바비큐를 하거나 소풍을 갈 때 주의사항을 당부함. 1)두 시간 이상 밖에 둔 냉장음식을 먹지 말 것 2)여행 중 조리를 안 한 식품이나 즉석식품은 별도의 밀봉용기에 넣어 이동 중에는 냉장백이나 아이스박스에 보관하고 3)벤치, 장비, 식기류를 깨끗하고 물기가 없는 상태로 보관할 것 4)간 고기, 소시지, 닭고기 같은 일부 고기는 붉은 부분이 없게 제대로 익힐 것 4)요리할 때와 음식을 낼 때에 접시와 도구는 따로 쓰도록 당부함.

TGA
(호주)

효능이 강한 오피오이드 처방약에 별도의 규제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의견을 수렴하고 있음. 오피오이드 오용은 국제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사안으로,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자료가 한정적인데도 암이 아닌 질병의 통증을 다스리는 만성 진통제에 오피오이드 성분을 사용한 것을 문제의 주원인으로 꼽고 있음.



총 게시물 1130 페이지 1 / 113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30 2025년 6월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27 23
1129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3 59
1128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1 55
1127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53
1126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50
1125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38
1124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26 226
1123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17 219
1122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26 235
1121 2025년 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13 264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