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80129-180202)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2933
게시일 2018.02.06
파일
해외 2018.1.29. ~ 2018.2.2.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WHO

항생제 내성 감시 통계를 처음으로 발표했음. 감시 결과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은 심각한 상황으로 드러났음. 국제항생제내성감시시스템(GLASS)에 따르면 22개국의 50만 명의 사람이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에 감염된 것으로 드러남. 현재 52개국이 시스템에 등록했으며, 이중 40개국이 국가감시시스템정보를 제공하고, 22개국은 항생제 내성 관련 데이터를 제공했음.

FSA
(영국)

대표적인 고기 가공 업체 두 군데가 위생 규정을 준수하지 않아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은 업체가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할 때까지 판매를 금지하고, 시장에 유통된 제품은 철수하도록 조치함. 고기 가공 업체와 냉장 보관 매장을 전수 조사할 예정임.

CPSC
(미국)

겨울철 안전한 실내외 활동을 위한 주의사항을 제공함. 히터, 제설차,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실외 스포츠 활동 시 헬멧 착용에 관한 내용임.

CPSC
(미국)

아기 슬링띠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연방 표준을 승인했음. 이는 2018.1.30. 이후 제조하거나 수입한 전 제품에 적용되며, 질식, 낙상, 액세서리 파손 여부 확인에 관한 주의문구, 최대 하중, 내구성, 낙상 방지에 대한 요건임. 2003.1.~2016.9.에 CPSC에 접수된 아기띠 관련 사고는 159건임. 이 중 사망한 경우는 17건, 상해를 입은 경우는 67건임. 아기 슬링띠를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1)아기 얼굴이 슬링에 가리지 않고 항상 보여야 하며 2)아기띠에서 수유를 할 경우 먹인 후에 아기의 자세를 바꿔 머리가 위를 향하도록 해야 함 3)아기띠를 하고 있을 때는 아기의 코와 입을 가리는 게 없는지, 턱이 가슴에서 띄워져 있는지 자주 확인해 봐야함.

FDA
(미국)

전자파 노출에 따른 건강상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임. 국가독성프로그램(NTP)이 발표한 동물 실험 결과, 높은 전자파에 노출될 경우 수컷 쥐에 암이 발생했으나, FDA는 전자파가 연방통신위원회(FCC)의 허용 한도 이상이었으며, 몸 전체에 노출시킨 사례라 이를 그대로 사람한테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임. FCC가 정한 휴대폰 전자파 노출 한도 이하의 전자파에 노출될 때 건강에 문제가 된다는 증거는 충분하지 않음. 현재까지의 정보로는 현행 안전 기준이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OEHHA
(미국)

TRIM® VX를 발암물질 목록에 추가하고자 하며 이와 관련된 공공 의견을 수렴함. TRIM® VX는 절단, 절삭, 드릴링, 연삭 가공을 할 때 윤활, 냉각 목적으로 사용하는 금속 가공유임.

OEHHA
(미국)

생식독성이 있는 화학물질인 메탐 소듐(Metham Sodium)의 최대 허용 용량(Maximum Allowable Dose Level, MADL)을 하루 290μg으로 정했음. 이에 관한 공공 의견을 수렴함.

NIH
(미국)

연구 결과 건강한 산모의 경우 39주 이후에 유도분만을 했을 때 유도분만을 하지 않은 산모에 비해 제왕절개, 임신성 고혈압인 전자간증을 겪을 확률이 낮았으며 신생아도 자가 호흡에 문제가 있는 확률이 낮았음.

AAPCC
(미국)

슈퍼볼을 맞아 USDA와 합동으로 식중독 예방을 위한 권고사항을 발표했음. 1)장을 보고 요리를 준비할 때는 가방과 냉장고에 고기, 가금류, 해산물, 계란은 다른 식재료와 분리해 둘 것 2)손, 조리대, 기구, 도마를 자주 씻을 것. 농산물은 씻고 계란, 고기, 가금류는 박테리아가 퍼질 수 있기 때문에 씻지 말 것 3)고기나 가금류를 해동시킬 때는 전자레인지, 냉수, 냉장고를 쓸 것. 해동 후에는 바로 조리할 것 4)따뜻한 요리는 뜨겁게, 차가운 요리는 차갑게 둘 것 5)고기가 완전히 익었는지, 또 박테리아를 없앨 만큼 고열에 요리하는지 확인하려면 온도계를 쓸 것 6)요리가 끝난 후에 고기는 썰거나 먹기 전에 몇 분을 둘 것 7)남은 음식은 섭취 후 2시간 내에 4도 이하의 온도에서 냉장 보관할 것 8)냉장고 내에서는 식품을 밀봉에서 교차감염을 예방할 것 9)3~4일 내에 남은 음식을 먹거나 냉동 보관할 것.

CAA
(일본)

3살까지는 콩, 견과류를 먹지 않도록 주의보를 발표함. 2010.12.~2017.12.까지 접수된 콩, 견과류로 인한 사고 27건을 접수했으며, 이 중 20건이 3세 미만 유아에게 발생한 사고였음. 3세 미만 아이는 어금니의 씹는 힘이 충분하지 않고 기도도 좁으므로 음식이 기도에 들어가 기관지염이나 폐렴을 일으키거나 질식할 우려가 있음. 콩과 견과류는 작게 자른 조각도 주지 말고, 3세 이상의 아이라도 먹는 것에 집중해 천천히 깨물어 먹도록 주의시킬 것을 당부함.

MHLW
(일본)

수입 시 중국산 벌 유충 가공품의 검사 결과 수용성 항생제인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을 검출해 수입자에게 검사 명령을 내렸음.

CFS
(홍콩)

설 음식 조사를 완료했음. 약 60개의 시료를 검사한 결과 병에 들은 캐슈넛이 영양표시규정을 위반한 사례를 제외하고는 전 제품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음.

CFS
(홍콩)

2017.12. 식품안전보고서를 발표함. 약 10,000 시료를 대상으로 미생물, 화학, 방사능 시험을 실시했음. 8개 시료를 제외한 99.9%의 제품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합 판정을 받은 8개 식품은 농약 잔류물이 높은 오렌지 2종, 방부제가 검출된 냉장 소고기와 디저트 소스, 색소가 검출된 건배추, 박테리아가 검출된 아이스크림, 다이옥신 등이 검출된 털게, 동물용 약품이 검출된 백합임.

CFS
(홍콩)

식품에 함유된 프탈레이트에 관한 위해성 평가 연구를 완료했음. 성인 인구의 프탈레이트 노출 정도를 추정하고 건강상의 위해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함. 프탈레이트는 가소제로 플라스틱 용기, 옷, 화장품, 비닐봉투, 식품 포장과 완구 등에 널리 사용하는 첨가제로 환경에도 산재하며 따라서 식품에도 존재함. 음료, 유제품, 생선, 고기, 야채, 채소, 시리얼, 식용유, 조미료 등 총 317개 시료의 프탈레이트 7종 함유량을 조사했음. 4개의 시료, 식용유 2종과 술 2종에서 허용치를 넘는 프탈레이트가 검출되었으며, 이번에 검사한 식품 전체는 많이 섭취하더라도 건강에 유해한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됨.

NSW
(호주)

여름철에는 박테리아가 증식하기 쉬우므로 학교 도시락을 안전하게 준비하고 보관할 것을 당부함. 1)썰지 않은 온전한 과일, 채소, 딱딱한 치즈, 통조림 고기와 생선, 빵, 크래커, 일부 잼을 제외하고는 차가운 식품은 보온병이나 물 또는 음료를 얼려 도시락에 같이 넣는 등의 방법으로 차갑게 보관해야함 2)도시락을 직사광선이나 열원에서 떨어진 시원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할 것 3)도시락을 전날 만들었으면 밤새 냉장고에 보관할 것 4)전날 저녁에 남긴 음식으로 도시락을 쌌다면, 음식이 신선한지확인하고 먹을 것. 식중독 외에 중요한 문제는 식품 알러지임. 대부분의 뉴사우스웨일스 지역 학교와 보육시설에서는 가장 흔한 알러지원으로 알려진 견과류를 제공하지 않지만 자녀가 식품 알러지가 있다면 학교에 개별적으로 연락해 알러지원이 있는 식품 관련 규정을 확인해볼 것을 권함.



총 게시물 1130 페이지 1 / 113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30 2025년 6월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27 32
1129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3 63
1128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1 60
1127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57
1126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52
1125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40
1124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26 228
1123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17 220
1122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26 237
1121 2025년 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13 267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