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80205-180209)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3035
게시일 2018.02.12
파일
해외 2018.2.5. ~ 2018.2.9.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FDA
(미국)

크라톰(Kratom)에 관한 과학적 분석을 실시했음. 크라톰은 질병 치료 및 오피오이드 중독을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하면 안 됨. 크라톰에 관한 과학적 데이터와 부작용 사례들을 볼 때 크라톰의 성분이 단순한 식물성이 아닌 오피오이드라는 것은 명백함. 오피오이드 중독을 치료하려면 FDA가 승인한 치료법이 있으며, FDA는 부프레노르핀, 메타돈, 날트렉손 세 가지 약물을 오피오이드 치료약으로 승인했음.

EWG
(미국)

석면 함유 가능성이 있는 어린이 화장품에 주의문구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도입했으며 EWG는 이를 반김.법안은 어린이 화장품 업체가 자사 제품에 석면이 없다는 것을 입증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제품에 석면 검사를 하지 않았으며 어린이가 사용하기에 부적절하다는 주의문구를 표시하도록 함. 또 이 법은 석면을 검사하는 방법도 업데이트하고 있음. 석면은 피부 화장용 파우더, 아이 섀도우처럼 탈크로 만드는 화장품에 들어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아주 소량일지라도 노출되면 수년 후에 중피종과 같은 질병에 걸릴 수 있음.

MHLW
(일본)

2016년 가정용품 등으로 인한 안전 사고에 관한 병원 모니터링 결과를 공표했음. 이는 매년 병원과 일본 중독 정보 센터의 정보를 바탕으로 정리하는 것으로 피부 손상, 유아 섭취 및 흡입으로 인한 사고 정보로 구성됨. 피부 손상에서는 장식품에 의한 손상이 24.5%로 가장 높았음. 피부 증상이 발생할 경우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의료 기관의 진찰을 받을 것을 권함. 유아 오음 사고는 담배에 의한 사고가 20.2%로 나타났음. 담배를 취급하거나 보관할 때 주의하고 음료수 깡통이나 페트병을 재떨이로 사용하지 말 것을 당부함. 흡입 사고는 세척제에 의한 사고가 23.4%로 가장 많았음. 세척제는 사용 시 주의문구를 잘 읽고 제대로 사용해야 함.

CFDA
(중국)

SNS 상에서 국수를 물에 녹이는 실험을 하는 동영상이 퍼졌음. 영상에서는 국수의 밀가루가 녹고 난 다음, 접착제로 보이는 물질이 물에 녹지 않은 채 남아있음. 당국에서 해당 제품을 시험한 결과 제품이 업체와 국가 표준을 준수했다고 발표했음.

MOHW TW
(대만)

어린이 해열제 사용 시 주의사항을 제공함. 아이에게 열이 날 경우 병원 치료를 받을 것을 권하며 치료 지연을 위한 목적으로 부모나 간병인이 판단해 약을 구입해 사용하지 말 것을 당부함. 소아과 약은 의사가 아이의 나이와 몸무게에 따라 약에 따른 혜택과 부작용 위험을 고려해 처방해야 함. 어린이에게 해열제를 사용할 때는 다음의 원칙을 고려해야 함. 1)열의 원인 파악하기 2)해열제는 의사의 처방을 받고 과용하지 말 것 3)열이 지속적으로 날 경우 활동 또는 식욕 부진 등 상태 경과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것 4)약물 알러지가 있는지 주의를 기울일 것. 알러지 증상이 보이면 해열제 사용을 즉시 중단하고 최대한 빨리 의사의 상담을 받을 것.

CFS
(홍콩)

고기의 이산화황 함유 감시 결과를 발표했음. 이산화황은 냉장육에 금지하는 방부제로 약 600개 고기 시료를 조사한 결과 한 개의 시료에서 이산화황이 검출되었으며 나머지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산화황은 독성이 낮으며 물에 녹음. 대부분은 세척과 요리 과정에서 제거되지만 이산화황에 알러지가 있는 소비자가 해당 고기를 섭취할 경우 호흡, 두통, 메스꺼움과 같은 알러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Consumer
NZ
(뉴질랜드)

2015년에 이어 태닝샵 미스테리 쇼핑을 실시했음. 40개 매장을 방문해 자발적 표준에 있는 주요 안전 수칙을 지키는지 조사한 결과 45%의 업체가 기본적인 확인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현재 기준에 따르면 썬탠기구로 썬탠하는 사람은 나이가 18세 이상인지, 썬탠기구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알고 있는지, 보안경 착용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는 동의서에 서명한 다음 서비스를 받도록 되어 있음. 또한, 특정 타입의 피부를 가진 사람은 자외선 손상에 더 취약하므로 선탠을 하기 전에 피부 평가를 받도록 되어 있으나 8군데 업체에서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으며, 2군데 업체는 보호안경을 제공하지 않았음. 앞서 WHO의 국제암연구소는 30세 이전에 태닝기구를 사용할 경우 흑색종이 생길 확률이 75% 높아진다고 발표했음.



총 게시물 1130 페이지 1 / 113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30 2025년 6월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27 45
1129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3 71
1128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1 65
1127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61
1126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60
1125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44
1124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26 234
1123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17 227
1122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26 241
1121 2025년 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13 273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