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80917-180921)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1347
게시일 2018.10.08
파일
해외  2018.9.17. ~ 2018.9.21.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Health
Canada
(캐나다)

캐나다에서 제조하는 식품과 수입 식품, 식당에서 판매하는 식품에 부분경화유(PHOs) 사용이 18.9.17.자로 금지됨. 부분경화유는 트랜스지방의 가장 큰 원인으로 트랜스지방은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저밀도 지단백)는 높이고 좋은 콜레스테롤 수치(고밀도 지단백)는 낮춰 심장병 위험을 높임. 18.9.17. 이전에 제조한 부분경화유 함유 식품은 계속 판매할 수 있되 2년의 기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줄일 예정임.

Health
Canada
(캐나다)

독성 화학물질 DNP(2,4-다이나이트로페놀) 함유 제품을 구매하거나 섭취하지 말라는 주의보를 발표했음. DNP 함유 제품은 보통 체중 감량제로 보디빌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판매함. 2018.1.~6. 기간 영국에서는 DNP 때문에 5명이 사망한 바 있으며 캐나다 보건부에서는 심각한 안전 우려 때문에 DNP 함유 제품을 승인하지 않음. 제품 관련 소비자 주의사항을 알려줌 ▲ DNP 함유 제품을 구입하거나 사용하지 말고, 복용했다면 당장 치료를 받을 것 ▲ 체중 조절 제품을 생각중이면 안전한 제품을 알아볼 것 ▲ 체중감량제품 광고는 믿지 말 것 ▲ 구매하는 제품이 캐나다 보건부의 안전, 효능, 품질 평가를 받았는지 라벨을 확인할 것. 승인을 받은 제품은 DIN, DIN-HM, NPN 번호가 있음.

CPSC
(미국)

5월 마지막 주부터 8월 말까지 풀장과 온천에서 15세 미만 어린이 최소 148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됨. 지난해 동기 대비 약 9% 하락한 수치임. CPSC는 버지니아 그레이엄 베이커 풀장 및 온천 안전법에서 명시한 바대로 2010년에 전국 캠페인에 착수해 안전 정보를 제공한 바 있음.

FDA
(미국)

12~17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전자담배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캠페인 ‘실질적 비용(The Real Cost)’에 착수함. 최근 청소년 전자담배 이용 확산 문제에 대응하는 청소년 담배 피해 예방계획의 일환으로 시행하는 것임. 캠페인은 전자담배는 일반 담배와 마찬가지로 중독될 위험이 있으며 건강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알리며 10대가 많이 찾는 웹사이트와 소셜미디어 광고, 전국 고등학교에 예방 포스터 부착 등을 통해 시행함.

FDA
(미국)

식품안전현대화법(FSMA) 하에 식중독과 식품안전문제를 예방하는 활동의 일환으로 미국에서 판매하는 식품을 수집해 식중독균이 있는지 감시하고 있음. 그간 시료도 늘리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감시하는 식중독균도 추가해왔음. 최근에는 익히지 않은 농산물과 물 등을 통해 체내에 들어가 장염을 일으키는 기생충인 원포자충을 감시할 수 있게 되었음. 이에 따라 올여름 미국 내에서 재배한 고수에서 원포자충을 발견한 바 있음. 이는 국내 생산 농산물에서 원포자충이 나온 첫 사례임.

FDA
(미국)

오피오이드 진통제 위해성 평가 및 저감 최종 전략을 승인하였음. 최초로 외래 환자 대상 오피오이드 진통제도 다루고 있으며 처방하는 의사 외에 간호사와 약사 같은 통증 환자를 관리하는데 관여하는 의료인 전부를 훈련 대상으로 포함, 오피오이드 대체 진통제 등 통증 관리에 관한 포괄적인 정보가 들어간 교육 등을 명시함.

 NPIC
(미국)

가을이 되면서 집에 해충이 출몰할 수 있음. 해충이 드나들지 않도록 틈이나 구멍은 메울 것을 권하며 효과적인 방역 방법을 알려줌.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지 전문가 도움이 필요한 문제인지 결정한 다음 직접 방역을 하겠다면 1) 방역 대상 해충 확인 2) 방역 대상 해충의 습성 조사 3) 조치 필요 여부 결정 4) 가장 효과적인 방역 방법 조사 5) 방역 효과 주시 등의 절차를 거치면 됨. 이밖에 업체 선정 방법 등 업체를 통해 방역을 하려는 사람도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EWG
(미국)

석면위험긴급대응법(1986)은 환경청에 3년 주기로 학교에 석면이 들어간 자재가 있는지 검사하고 석면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그 계획서를 학부모, 교사에게 제공하는 등 학교 시설의 석면을 관리하도록 명시하고 있지만 회계연도 2011~2015년 기준 검사 이행률은 13%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으며 관련 예산도 삭감하거나 없애는 등 임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Consumers
Union
(미국)

식품 알러지에 관한 정보를 알려줌. 식품 알러지와 불내증은 흔히 혼용하지만 둘은 차이가 있어 치료하는 데 있어 정확한 진단이 중요함. 식품 알러지 대처 방법은 간단함. 알러지를 일으키는 식품을 찾고 그 식품을 피함. 외식할 때는 특히 주의하고 포장식품을 구입할 때는 알러지원이 들어있지 않은지 라벨을 꼼꼼히 확인해야 함. 예전에 알러지 반응이 약했다 해서 항상 그러하리라고 기대할 수 없으며 언제든 심각한 알러지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 이외에 식품 알러지나 불내증이 있는 사람들이 칼슘, 단백질, 섬유질, 오메가 3 지방산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대체 식품을 소개함.

Consumers
Union
(미국)

미국 농무부는 대장균 O26 오염 가능성이 있는 다진 소고기 132,606 파운드를 리콜함. 한 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발병했음. 식품안전검역서비스가 해당 브랜드와 소매업체 목록을 제공하고 있지만 빠져 있는 매장이 있을 수 있어 예방차원에서 6/21~7/11 사이에 구매해 냉장고에 넣어둔 다진 소고기가 있으면 먹지 말고 버릴 것을 권함.

MOHW TW
(대만)

18.9.17. 수입식품의 검사 실시방법을 개정해 기존의 육류, 수산물, 유제품 등에 계란과 동물성 유지를 포함시켜 품목을 확대했음. 2019.1.1.부터 시행됨.

MOHW TW
(대만)

고령자 의약품 복용 시 주의사항을 알려줌 ▲ 복용 시기와 복용 방법 숙지 ▲ 부작용 여부 관찰 ▲ 지인이나 매체 광고를 통해 불법 약품을 구매할 수 있음. 의료기관이나 약국에서 합법적으로 구입. 성분명과 허가번호 표시 여부 확인 ▲ 복용하는 약과 상호작용 등 약에 관해 궁금한 사항은 약사에게 상담 가능.

MOHW TW
(대만)

식품업자의 자율관리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해당 사업자는 최소 검사주기 등 특정 사항을 정해야 한다고 고시했음. 2016년 17개 식품업자를 고시했고 이번에 농산품, 버섯, 가금류, 육류 등 16개 식품업자를 추가함.

NSW
(호주)

고의로 딸기에 바늘을 삽입한 다음 시중에 유통시켜 당국에서 조사 중임. 해당 식품은 퀸즐랜드 지역에서 공급해 호주 전역에 유통한 3개 브랜드 딸기, “Berry Obsession”, “Berry Licious”, “Donnybrook”이며 해당 제품은 회수 중임. 다른 브랜드 딸기와 바나나, 사과 등 다른 과일도 오염되었다는 제보도 받음. 당국은 소비자에게 과일은 먹기 전에 잘라 내부를 확인해보도록 권장하며 바늘이 들어간 제품을 구매했을 경우 인근 경찰서로 바구니째 가져와 달라고 촉구함.



총 게시물 1131 페이지 1 / 114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31 2025년 7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7.10 22
1130 2025년 6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27 69
1129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3 83
1128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1 77
1127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76
1126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71
1125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56
1124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26 243
1123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17 240
1122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26 250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