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81001-181005) |
---|---|
출처 | 위해정보팀 |
품목 | 품목없음 |
조회수 | 1306 |
게시일 | 2018.10.15 |
파일 | |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 주요내용 |
---|---|
BEUC (유럽) |
유럽 집행위원회는 유럽에서 판매되는 식품의 산업용 트랜스지방 양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발표했으며 2021.4.까지 이행하게 됨. 트랜스지방은 보통 비스켓, 케이크, 피자 등 가공 식품에 들어가며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조사 결과 유럽에서 판매되는 식품에 함유된 트랜스 지방 양은 전반적으로 줄었으나 일부 제품에 안전한 수준으로 여겨지는 지방 100g당 2g을 훨씬 초과하는 양이 들어 있었으며 지역별로는 동유럽권의 제품에서 높게 나타남. BEUC는 예전부터 EU 차원의 법적 제도장치를 마련할 것을 촉구해왔기에 이번 조치를 반기지만 이행 기간이 너무 긴 것에 유감을 표함. |
Health Canada (캐나다) |
미국 FDA가 발암물질 불순물이 들어간 고혈압 및 심장약원료 발사르탄을 제조한 중국 제약회사 제지앙화하이 제조현장을 조사한 정보를 검토한 결과 해당 제조지는 모범 제조 선례(GMPs) 요건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음. GMP 요건을 준수하지 않으면 의학적으로 필요한 상황이 아닌 이상 캐나다 업체가 해당 시설에서 제조한 유효 성분이 들어간 약품을 수입하지 못함. 현재로서는 의학적으로 필요하다고 확인된 약품이 없었음. 해당 시설에서는 고혈압 및 심장약, 항간질제, 항바이러스제, 당뇨병 치료제에 들어가는 유효 성분을 제조하고 있음. |
CPSC (미국) |
코스트코사는 쓰레기통 EKO Sensible Eco Living Trash Cans(EKO Trash Cans) 제품의 결함 내용을 CPSC에 고의로 보고하지 않아 385만 달러의 벌금을 내고 기준 준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동의했음. 해당 제품은 입구 가장자리가 날카로워 사용 중 열상을 입을 수 있음. 해당 업체는 부상 사고 60건을 포함한 92건의 소비자 민원을 받았으나 CPSC에 즉각 보고하지 않았음. 2015.7.17. CPSC는 제조업체와 해당 제품 367,000개를 리콜하였음. |
OEHHA (미국) |
식수안전 및 독성물질관리법 하에 베바시주맙(Bevacizumab)을 여성 생식독성(난소부전)과 발달 독성이 있는 물질 목록에 추가하고자 함. 베바시주맙은 특정 암을 치료하는 항암제(제품명 아바스틴)임. |
OEHHA (미국) |
캘리포니아 규정집의 생식독성 초래 화학물질 노출수준 항목(25821 섹션, (a)와 (c)(2)) 개정안을 발표했음. (a)는 식품에 생식독성을 초래하는 물질의 노출 수준이 문제가 될 경우 사업자가 해당 식품 시료 여러 개의 평균을 내 증거를 제시할 때 다른 제조업체나 생산업체, 다른 시설에서 제조한 식품은 시료에서 빼도록 수정할 예정임. 또 (c)(2)는 소비자제품에 생식독성 화학물질 노출 관련 주의문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 제품 사용자 흡입 및 노출율을 합리적으로 예상해 계산해야 한다고 명시함. |
CDC (미국) |
USB 모양 전자담배인 JUUL 제품의 판매량이 2016년부터 1년 사이에 7배 이상이 증가해 2017.12. 기준 미국 전자담배시장 점유률 1위를 차지했음. 대부분의 전자담배에 니코틴이 함유돼 있지만 JUUL은 니코틴 함량이 제일 높은 축에 속함. 니코틴은 중독성이 강하며 어린이의 뇌 발달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음. |
EWG (미국) |
FDA가 식품 중 글리포세이트 제초제 검사 결과를 발표했음. 오염이 되지 않는다고 밝혀진 우유와 달걀은 조사한 반면 귀리와 밀은 검사 대상에서 뺀 것으로 나타남. 두 작물은 글리포세이트를 수확 전 건조제로 사용해 오염 가능성이 높으며 그래놀라 등 가공 식품에서 글리포세이트가 검출된 바 있음. 옥수수 시료의 63%에서, 대두 시료의 67%에서 글리포세이트가 발견되었음. 글리포세이트는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음. |
MOHW TW (대만) |
비전통 식품 원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소비자 식품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새우, 게딱지, 흑곡균사체에서 추출한 식품 원료 ‘키토산’의 사용제한 및 표시 초안을 예고함. 이는 다양한 종류의 키토산을 일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조치임. |
MOHW TW (대만) |
식품안전위생관리법 하에 식품 및 관련 제품 추적시스템 관리법 개정안을 발표함. 추적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식품업자가 전자식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조치 방법을 상술하고 있음. |
번호 | 제목 | 출처 | 게시일 | 조회수 |
---|---|---|---|---|
1071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717-230721)
![]() |
위해정보팀 | 2023.07.27 | 670 |
1070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710-230714)
![]() |
위해정보팀 | 2023.07.27 | 887 |
1069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703-230707)
![]() |
위해정보팀 | 2023.07.11 | 700 |
1068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626-230630)
![]() |
위해정보팀 | 2023.07.05 | 769 |
1067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619-230623)
![]() |
위해정보팀 | 2023.06.30 | 752 |
1066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612-230616)
![]() |
위해정보팀 | 2023.06.23 | 805 |
1065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605-230609)
![]() |
위해정보팀 | 2023.06.14 | 744 |
1064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529-230602)
![]() |
위해정보팀 | 2023.06.09 | 757 |
1063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522-230526)
![]() |
위해정보팀 | 2023.06.01 | 741 |
1062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515-230519)
![]() |
위해정보팀 | 2023.05.25 | 747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