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81022-181026)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1217
게시일 2018.11.28
파일
해외  2018.10.22. ~ 2018.10.26.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EU 의회
(유럽)

항생제 내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동물에 항생제 사용을 제한하는 합의를 채택했음. ▲ 단일 가축에 임상적 감염 증상 없이 예방 차원에서 항생제 사용을 제한하고 수의사가 감염 위험이 높다고 확인한 경우에만 사용 가능 ▲ 한 마리가 감염 증상을 보일 경우 속해 있는 그룹 대상 항생제 치료는 최후의 보루로, 수의사가 감염 사실을 진단하고 항생제를 처방할 때만 가능 ▲ 특정 항생제는 인체 치료용으로 제한 ▲ 수입식품도 EU 표준을 준수해야 하며 동물 성장 촉진 목적으로 항생제를 사용해서는 안됨 ▲ 새로운 항생제 연구 장려 목적으로 신규 의약품의 기술 문건 보호 기간 연장, 활성 물질의 상업적 보호 같은 보상 제공을 골자로 함.

EFSA
(유럽)

2015년부터 2018.10.8일까지 덴마크, 독일, 프랑스에서 연어를 먹고 리스테리아균에 감염된 사례가 12건 발생했으며 4명은 사망했음. 감염은 폴란드에서 제조한 훈제 냉장 연어, 연어 마리네이드 등을 섭취한 후 발생함. 최근 독일의 감염사례로 미루어 오염원이 아직 해소되지 않고 오염된 식품이 다른 국가로 유통되었을 가능성도 있음. 임산부, 고령자, 면역력이 약화된 사람은 특히 주의해야 함.

FDA
(미국)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처방 오피오이드, 항암제, 항생제를 불법 판매하는 웹사이트 465개 대상 조치를 취했음. 이는 인터폴의 주도로 불법 및 위조 의약품의 인터넷 유통을 막기 위한 국제 캠페인 판게아 작전 11호(Operation Pangea XI)의 일환으로 시행한 조치임.

OEHHA
(미국)

식수안전 및 독성물질관리법(1986년)에 따라 2018.10.26.자로 니켈(용해성 혼합물)을 생식 독성이 있는 화학물질 목록에 추가했음. 니켈은 남성 생식독성과 발달 독성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짐.

EPA
(미국)

전국 납중독 예방주간에 착수해 특히 어린이의 납 중독위험에 관한 인식 제고 활동을 전개함. 납은 특히 어린이에게 위험한 중금속으로 IQ, 주의력, 학업 성취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음. EPA는 연방 합동 납 관리계획을 새로 발표하고 납먼지 위험 표준을 강화하는 등 납 중독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조치를 취하고 있음.

EWG
(미국)

유기농 식품을 먹으면 발암 위험이 급격히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미국의학협회저널에 발표됨. 프랑스 정부 소속 과학자팀이 69,000여명의 식단을 4년 간 추적한 결과 대부분 유기농 식품을 섭취한 이들은 암에 걸릴 확률이 25% 적은 것으로 나타났음. 특히 모든 림프종, 폐경 후 유방암 위험이 상당히 낮아졌음. EWG는 이 연구 결과가 식품의 농약이 해로울 수 있음을 입증하는 또 하나의 증거라고 평했으며 건강에 해로운 농약이 검출되는 일부 채소와 과일은 유기농으로 섭취하라고 권장함. EWG는 매년 농산물 농약 가이드를 발행해 농약이 제일 많은 품목 12종과 제일 적은 품목 15종을 소개하고 있음.

EWG
(미국)

귀리가 들어간 Cheerios, Quaker Oats 브랜드 영유아 식품 28개를 조사한 결과 전 제품에서 발암 가능성이 있는 글리포세이트 제초제가 검출됨. 26개 제품에서 EWG 과학자들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수준을 초과하는 글리포세이트가 검출돼 제품명과 시험 결과를 제공함.
156,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General Mills, Quaker, Kellogg 사에 제품에 글리포세이트가 검출되지 않도록 하라고 청원했으며 EWG는 지난달 EPA에 귀리에 허용한 글리포세이트 허용치를 급격히 낮추고 글리포세이트를 수확 전 건조제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라고 청원했음.

소비자청
(일본)

전동 셔터 사고 주의보를 발표함. 동작 중인 전동 셔터로 인해 28건의 사고가 발생, 이 중 14명이 사망하고 15명이 부상을 입었음. 전동 셔터는 강한 모터 힘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성인의 힘으로 막기는 불가능하며 체인 파손 등으로 셔터가 갑자기 떨어져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 전동 셔터를 조작하는 사람, 보유한 사람, 일반 대중 대상 으로 안전 주의사항과 전동 셔터 안전 장치 정보, 점검 정보를 안내함.

후생노동성
(일본)

검역소 모니터링 결과 네팔산 옥수수(감미종 제외)에서 아플라톡신이 검출돼 해당 식품과 원료를 5% 이상 함유한 가공품 대상 검사 명령을 내림.

CFS
(홍콩)

포장된 시금치 시료에서 허용치를 초과하는 카드뮴이 검출됨. 해당 제품은 Earthbound Farm 브랜드의 Baby Spinach 142g(5온스)로 섭취기한이 2018.9.29.(10.23.자 정보), 2018.10.27.(10.25.자 정보)까지인 제품임.

TGA
(호주)

2018.10.10.~11.에 호주 국경수비대와 공동으로 인터넷으로 판매되는 위조 및 불법 의약품에 대응하는 국제 캠페인 판게아 작전 11호에 참여함. 주로 발기부전치료제, 진통제, 기면증약이 들어있는 배송품 90개를 적발하고 압수함. 판게아 작전 11호는 세계관세기구와 인터폴의 주도로 100여 개국이 참가하는 국제합동조치임.

MPI
(뉴질랜드)

식품 리콜을 강화하고 위해 기반 계획과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규정 제안서를 발표하고 12.7.까지 의견을 수렴하고 있음. 이번 제안은 2013년 농축 유청 단백질 오염 사고에 따른 것으로 신규 규정에서는 구체적으로 사업자의 제품 신속 추적 및 리콜 역량과 관련해 식품 입반출 관련 기록을 관리하도록 요구하며 식품 업체가 식품 안전을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핵심 툴인 위해 관리 부분을 개선하고자 함.



총 게시물 1130 페이지 5 / 113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090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127-231201) hot 위해정보팀 2023.12.08 541
1089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120-231124) hot 위해정보팀 2023.12.04 480
1088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113-231117) hot 위해정보팀 2023.11.28 478
1087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106-231110) hot 위해정보팀 2023.11.28 494
1086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030-231103) hot 위해정보팀 2023.11.10 537
1085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023-231027) hot 위해정보팀 2023.11.03 567
1084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016-231020) hot 위해정보팀 2023.10.25 609
1083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009-231013) hot 위해정보팀 2023.10.17 661
1082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002-231006) hot 위해정보팀 2023.10.12 614
1081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925-230929) hot 위해정보팀 2023.10.12 673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