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81105-181109) |
---|---|
출처 | 위해정보팀 |
품목 | 품목없음 |
조회수 | 1121 |
게시일 | 2018.12.07 |
파일 | |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 주요내용 |
---|---|
BfR (독일) |
BfR에서 발간하는 과학잡지 BfR2GO 최신호에서는 열로 인해 발생하는 식품 오염물질 내용을 주요 주제로 다루고 있음. 가공하지 않은 식품이나 성분에 열을 가하면 화학성분이 바뀌게 됨. 보통 가열하면 소화가 쉬워지며 맛도 좋아짐. 하지만 아크릴아마이드, 퓨란,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 글리시돌 같은 발암성, 돌연변이 유발 성분도 발생해 섭취를 제한할 필요가 있음. 소비자 대상 주의사항을 안내함 ▲ 감자, 비스켓, 토스트, 감자튀김 등의 음식을 준비할 때는 너무 갈색으로 태우지 말 것 ▲ 음식은 가급적 신선한 작물로 요리하고 ▲ 통조림 스프나 병에 들은 영유아 식품 등 가공 식품은 젓는 동안 냄비 뚜껑을 덮지 말고 데울 것 ▲ 커피는 적당히 마시고 가급적 필터에 내린 커피를 마시면 좋음 ▲ 익힌 야채, 생선, 고기에는 간장 대신 소금만 첨가해 먹거나 무염 양념장을 쓸 것. |
Health Canada (캐나다) |
’18.11.12.~18.은 항생제 인식개선 주간으로 국제적으로 항생제 내성에 관한 인식을 제고하는 활동을 펼침. 올해 주제는 ‘두 번 생각하라. 자문을 구하라’로 항생제를 복용하기 전에 의료인의 자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정보를 확산시키고 있음. |
CPSC (미국) |
소규모 업체가 연방 제품안전 요건을 파악하고 준수하도록 돕는 무료 소프트웨어인 규제 로봇툴의 새 버전을 게시했음. 이번 버전은 효율성을 높여 사용자가 3개 질문에만 답변하면 맞춤형 제품안전 정보를 받도록 수정했으며 영어 외에 중국어, 부분적으로 스페인어, 베트남어, 인도네시아어 등 다국어 지원 기능도 구현함. |
FDA (미국) |
아칸소주 식료품점 J & L Grocery 창고에서 설치류, 곤충, 동물에 노출된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관리한 식품 및 동물용 사료, 일반의약품, 화장품, 의료기구 대량을 압수하였음. 일반의약품 상당수는 사용기한이 지난 제품이었음. 법무부는 연방 식의약화장품법 하에 압수 제품에 불순물이 섞여 있다는 혐의로 고소하였음. 현재까지 해당 업체에서 구입한 제품으로 인해 부작용을 겪는 사례는 보고된 바 없음. |
NIH (미국) |
콩분유를 먹은 여아는 청소년기 이후 생리통을 심하게 앓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음. 아기 때 콩분유를 먹은 여성 50%가 18~22세 사이 중증도 이상의 생리통을 겪을 가능성이 있으며 생리통을 완화시키기 위해 호르몬 피임법을 사용할 확률도 40% 높았음. 이외에 콩분유는 자궁내막증, 섬유종 비대, 생리 과다 등과도 연관 있는 것으로 보고 있음. 다수의 문헌에서 생애 초기에 콩분유을 사용하면 생식계에 해로운 결과를 끼칠 수 있다고 지적하는 바이며 이번 연구 결과도 같은 맥락임. |
NPIC (미국) |
실내 곰팡이는 건강에 위험을 끼칠 가능성이 있으며 곰팡이 독성은 일부 사람들에게 알러지 반응이나 천식 발작을 일으킬 수 있음. 곰팡이 제거 방법을 알려줌 ▲ 곰팡이를 청소할 때는 장갑, 고글, 마스크 등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문을 열어두고 작업 ▲ 항균제를 사용한다면 용도에 맞는 제품을 선택 ▲ 항균제를 사용할 때는 모든 지시사항을 꼼꼼히 읽고 준수. 지시사항에 따라 혼합 및 도포. 라벨에 적힌 양보다 과량 사용 금지. |
국민생활센터 (일본) |
자전거를 구입한 지 반년도 안 되었는데 앞바퀴 펑크가 4번이나 났다며 원인을 조사해달라는 의뢰가 들어옴. 점검 결과 공기압이 부족한 상태로 자전거에 힘차게 오르는 등의 상황에서 타이어 튜브가 자전거와 림 사이에 강하게 끼여 펑크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됨. 공기압이 낮으면 펑크가 쉽게 발생함. |
ACCC (호주) |
호주 정부가 다카다 에어백 리콜을 강제 리콜로 전환한 후 첫 1분기 결과를 발표함. 2018.7.1. 이후 3개월 동안 결함 에어백이 35만 개 이상 교체되었으며 이로써 2009년 자발적 리콜을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160만여 대 차량의 에어백 약 250만 개를 교체했음. 정부는 제조업체에 2020년 말까지 리콜을 완료하라고 기한을 두었으며 아직 120만여 대 차량의 에어백 140만 개를 교체해야 함. |
번호 | 제목 | 출처 | 게시일 | 조회수 |
---|---|---|---|---|
1071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717-230721)
![]() |
위해정보팀 | 2023.07.27 | 673 |
1070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710-230714)
![]() |
위해정보팀 | 2023.07.27 | 890 |
1069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703-230707)
![]() |
위해정보팀 | 2023.07.11 | 703 |
1068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626-230630)
![]() |
위해정보팀 | 2023.07.05 | 771 |
1067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619-230623)
![]() |
위해정보팀 | 2023.06.30 | 754 |
1066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612-230616)
![]() |
위해정보팀 | 2023.06.23 | 808 |
1065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605-230609)
![]() |
위해정보팀 | 2023.06.14 | 746 |
1064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529-230602)
![]() |
위해정보팀 | 2023.06.09 | 759 |
1063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522-230526)
![]() |
위해정보팀 | 2023.06.01 | 743 |
1062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0515-230519)
![]() |
위해정보팀 | 2023.05.25 | 750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