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81217-181221)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978
게시일 2018.12.26
파일
해외  2018.12.17. ~ 2018.12.21.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Health
Canada
(캐나다)

향을 첨가한 1인용 술의 알코올 함량을 제한하도록 식품의약품규정을 개정하고자 함. 연구에 따르면 특히 청소년이 과음해 급성 알코올 중독 또는 사망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 술에는 정제 알코올이 들어가 있고 향이 첨가돼 있으며 보통 당도도 높아 알코올이 느껴지지 않지만 알코올이 고농도로 들어 있을 수 있음. 개정(안)에서는 이러한 술의 알코올 함량을 1,000mL 이하 용기는 25.6mL로 제한함. 750mL 이상의 유리 용기에 담긴 음료는 보통 여러 번에 걸쳐 나눠 마시기 때문에 제한을 두지 않음.

Health
Canada
(캐나다)

캐나다의 의료기구 규정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 계획을 마련했음. 계획은 3단계 전략으로 의료기구 시판 절차 개선, 사용 중인 의료기구 모니터링 및 후속조치 강화, 의료기구 관련 추가 정보 제공 등의 내용으로 이 계획 하에 기존에 수립한 계획을 더 신속히 이행할 예정이며 외부 전문가 자문 위원회 창설 등 외부 전문지식 활용 확대 등의 새 조치도 도입하게 됨.

Health
Canada
(캐나다)

연휴 동안 대마초 및 알코올 음용 관련 주의사항을 발표함 ▲ 관련 건강 위험을 숙지 ▲ 대마초, 알코올, 약품을 복용했을 경우 운전 금지. 운전자의 복용이 의심되면 동승 금지 ▲ 자리를 비운 채 술을 두지 말고, 모르는 사람이 권하는 것은 물도 거절 ▲ 술은 에너지 드링크와 혼합 금지임.

Health
Canada
(캐나다)

발사르탄, 칸데사르탄, 이르베살탄, 로자탄, 올메사르탄 등 특정 자르탄(안지오텐신-2 수용체 차단체) 약품 시료 48개의 시험 결과를 발표함. 해당 약품은 고혈압 및 심장약으로 활성 원료에서 불순물 NDEA, NDMA가 발견돼 캐나다에서 여러 발사르탄 약품을 리콜한 바 있음. 특히 이 성분은 장기간 노출될 경우 발암 위험이 있는 물질로 알려져 파문이 컸음. 시험 결과 새로운 안전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음. 48개 시료 가운데 발사르탄 약품 4종, 6개 시료가 안전 수준을 넘는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었으나 해당 약품은 이미 리콜 조치한 제품이었음.

CPSC
(미국)

블라인드 끈 관련 자발적 안전 기준 개정안이 2018.12.15.부터 발효됨. 어린 아동의 목졸림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재고품으로 보관 중이거나 향후 제작하는 블라인드는 끈이 없거나 끈에 접근하기 어렵게 하거나 끈을 20cm 이하로 짧게 만들고, 끈이 달린 주문 제작 블라인드에는 길이에 기본값을 두고 각도 조절용 끈 대신 막대를 사용하도록 제한함. 또 목졸림 위험을 강조하는 주의문구 택도 부착하도록 함.
CPSC는 끈이 달린 블라인드를 사용하는 소비자 중 특히 어린이가 거주하거나 방문하는 가정일 경우 끈이 없는 제품으로 교체할 것을 촉구하며 제품 교체 전까지 주의사항을 안내함 ▲ 아기 침대, 가구, 장난감은 창문이나 블라인드 끈 주변에 두지 말 것 ▲ 끈은 가능한 짧게 만들어 놓을 것 ▲ 블라인드 끈은 전부 어린이 손이 닿지 않게 둘 것 ▲ 둥그런 형태로 처지는 구슬 끈이나 일반 끈은 바닥이나 벽에 고정할 것.

FDA
(미국)

미승인 줄기세포 제품을 마케팅하고 제품 제조 시 현행 신체 조직 및 제조 선례 요건을 상당히 벗어나 제품이 미생물에 오염돼 심각한 혈액 감염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진 Genetech사에 경고장을 발부했음. 해당 업체는 제대혈을 가공했음. FDA는 또한 줄기세포 치료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는 제조업체와 의료인들을 대상으로 규정 준수 및 집행 정책을 재차 통보하는 공문을 발부함.

FDA
(미국)

치발기 목걸이와 팔찌가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함. 제품으로 인해 영유아 및 아동이 목졸림, 질식 등 심각한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는 사고를 여러 건 접수했음. 치발기 장신구는 영유아의 이앓이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할 뿐만 아니라 자폐 및 ADHD 등을 앓는 유아, 성인에게 감각적인 자극을 주거나 이들이 옷이나 신체를 깨무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함. FDA는 소비자에게 미국소아과학회에서 권고하는 이앓이 통증 경감법을 따르도록 권장함. 깨끗한 손가락으로 아픈 잇몸을 문지르거나 단단한 고무로 만든 치발기 반지를 사용하는 것임.

FDA
(미국)

바이엘사의 이식형 피임 장치인 에슈어는 자궁 천공 등의 부작용으로 2018.12.31. 이후 미국에서 판매와 유통을 중단하게 됨. FDA는 이와 별개로 업체에 제품 시판 후 감시 연구를 완료하라고 요청하는 등 계속해서 제품 안전 관련 감시 활동을 벌여왔음. 연구 대상 여성들의 추적 관찰 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늘리고 추가 혈액 검사를 요청하는 등 제품 관련 장기 안전 정보를 수집하고 판매를 중단하기 전까지 제품 이식을 받는 환자 명단을 기록하도록 업체에 요청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음.

EPA
(미국)

아동의 납 노출 관련 위험과 건강 문제에 대응하는 연방 차원의 납 조치 계획을 발표함. 조치 계획의 네 가지 목표는 1) 아동의 납 노출 경감 2) 납에 노출된 아동 파악 및 대상 아동의 건강 개선 3) 관계자와 더 효과적인 소통 4)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중요 연구 지원 및 수행임. EPA는 2019.3.까지 기관 내 시행 계획을 마련하고 조치 관련 진행 사항을 주기적으로 발표할 예정임. 어린 나이에 납에 노출되면 IQ, 집중력 기간, 학업 성취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NPIC
(미국)

살충제는 독성이 있어 인간, 동물, 환경에 위해를 초래할 수 있음. 살충제를 고르기 전에 제품 라벨의 지시사항을 읽고 숙지하면 살충제 사용 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대한 줄일 수 있음. 위해를 줄이려면 표시 단어 ‘주의(caution)’가 적힌 제품을 찾아 독성이 낮은 제품을 고르고 지역 및 기관에 등록한 살충제 제품을 검색하는 것도 한 방법임. 또 살충제 관련 조언을 제공하는 지방자치단체 사무소에 문의할 수도 있음.

NHTSA
(미국)

다카다 에어백 리콜 현황을 발표함. 전 제조업체의 리콜 수리율 평균은 2018년 한 해 30%까지 증가했음. 우선순위 그룹 1~3위 중 수리하지 않은 차량수도 반으로 줄어 리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노력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됨. 오래된 차량일수록 리콜 수리율이 낮았으며 시사점으로는 제조업체가 현 차주에 연락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대리점, 사설 수리 업체, 보험업체, 경매소, 중고차 딜러 등이 공동으로 소비자에게 연락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임.

후생노동성
(일본)

2017년도 가정용품 사고 관련 병원 모니터링 결과를 공표함 ▲ 피부 손상 : 장식품이 43.6% 차지, 소비자 대처 방법: 증상이 발생했을 경우 제품 사용을 중지하고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음 ▲ 유아 삼킴사고 : 담배가 23% 차지, 소비자 대처 방법: 유아의 눈에 띄는 곳이나 손이 닿는 곳에는 삼킬 수 있는 크기의 물건은 두지 말고 삼킴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신속히 의료기관의 진찰을 받을 것 ▲ 흡입 사고 : 세정제가 20.7% 차지. 소비자 대처 방법 : 사용상 주의사항을 잘 읽고 올바르게 사용.

NSW
(호주)

기온이 오르면서 살모넬라 식중독에 주의할 것을 당부함. 지난 달 뉴사우스웨일즈주 전역에 식중독 사고 252건이 발생했다고 접수됨. 덜 익힌 달걀을 섭취한다든지 주방에 퍼진 세균을 통해 감염된 사례가 가장 흔했음. 특히 영유아, 노인, 면역계가 약한 사람은 심각한 증상을 앓을 수 있어 조심해야 함.

TGA
(호주)

2018.12.17.자로 엘러간(Allergan)사는 유럽 연합 지역에 가슴 보형물을 더 이상 공급하지 않게 됨. TGA는 현 시점에서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가슴 보형물을 제거하라고 권하지 않으며 외부 전문가 및 관계자와 논의해 조치 여부를 결정하고 변동사항이 있을 경우 즉각 공표하겠다고 밝혔음.



총 게시물 1131 페이지 5 / 114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091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204-231208) hot 위해정보팀 2023.12.15 566
1090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127-231201) hot 위해정보팀 2023.12.08 549
1089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120-231124) hot 위해정보팀 2023.12.04 488
1088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113-231117) hot 위해정보팀 2023.11.28 484
1087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106-231110) hot 위해정보팀 2023.11.28 502
1086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030-231103) hot 위해정보팀 2023.11.10 544
1085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023-231027) hot 위해정보팀 2023.11.03 575
1084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016-231020) hot 위해정보팀 2023.10.25 618
1083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009-231013) hot 위해정보팀 2023.10.17 667
1082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002-231006) hot 위해정보팀 2023.10.12 620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