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90318-190322) |
---|---|
출처 | 위해정보팀 |
품목 | 품목없음 |
조회수 | 839 |
게시일 | 2019.05.08 |
파일 | |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 주요내용 |
---|---|
영국 소비자협회 (Consumers’ Association) |
2019.7.11.부터 난연성 소재가 아닌 뒤판으로 된 냉장고를 금지하는 안전 표준을 시행하는 가운데 불에 타기 쉬운 플라스틱 뒤판으로 된 냉장고와 냉동고 제품이 여전히 판매되고 있어 소비자의 주의를 촉구함. Which?는 수백 종의 냉장고와 냉동고의 뒤판 소재를 확인하는 온라인 툴을 제공하고 있음. 냉장고 화재는 드물게 발생함. 가전제품 결함으로 인한 화재의 8%만이 냉장고로 인한 화재였음. 플라스틱 뒤판은 불을 빨리 확산시키지만 그것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지는 않음.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석면이 검출될 수 있는 어린이용 화장품에 주의문구를 추가하는 법안을 도입했음. 해당 법안은 업체에 어린이 대상 화장품에 석면이 없다는 사실을 입증하도록 요구하며 이를 입증하지 못할 경우 주의문구를 넣게 함. 한편 화장품의 석면 시험 방법도 업데이트하고 있음.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캘리포니아주에서 판매되는 화장품에 발암·생식독성·호르몬교란 화학물질 20종을 금지하는 법안을 도입함. 석면, 수은, 납, 프탈레이트, 포름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발산물질, 파라벤 4종, 톨루엔, 트리클로산, 카본 블랙, 과불화화합물(PFAS) 등임. 다수의 업체가 이미 해당 성분을 사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지만 법적 근거를 마련해 그렇지 않은 업체들도 따르게 하는 것이 중요함. 캘리포니아주의 경제 규모는 세계 5위에 달해 이번 조치는 여파가 클 것으로 기대됨.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바이엘-몬산토 사의 제초제 글리포세이트로 인해 암에 걸렸다고 주장하는 증인이 추가로 나타났음. 세계보건기구와 캘리포니아주의 연구진은 글리포세이트를 발암 물질로 결론내린 반면 업체는 이를 부정하고 있음. 미국 내에서 글리포세이트가 암을 유발했다고 주장하는 소송이 11,000건 이상 진행 중임.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EWG는 2004년부터 매년 농작물 농약 관련 쇼핑 가이드를 발표함. 과일과 야채 중 농약이 많은 농작물은 딸기, 시금치, 케일, 천도복숭아, 사과, 포도, 복숭아, 체리, 서양 배, 토마토, 셀러리, 감자, 고추 순이었음. 농약 함유량이 높은 농작물은 되도록 유기농 식품을 구입하도록 권하며, 유기농 식품을 구할 수 없거나 가격이 비싸면 이 식품으로 인한 건강상의 이점이 농약 섭취로 인한 위험보다 크므로 계속해서 해당 농작물을 섭취할 것을 권장함.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발암물질 포름알데히드를 검토 우선순위 목록에 올린다고 발표한 가운데 EWG는 이러한 조치가 포름알데히드의 발암성 평가를 중단시킴으로써 해당 물질 규제를 늦출 가능성이 있다며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음. 포름알데히드는 라미네이트 바닥재, 카페트, 페인트, 니스 등에 사용됨.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LA 카운티는 공공보건 및 환경 전문가들이 글리포세이트 제초제가 안전하다고 결정할 때까지 전 부서를 대상으로 사용 금지 명령을 내렸음. 미국에서는 50개 이상의 도시와 카운티에서 공원, 놀이터와 학교 운동장에 글리포세이트 사용을 금지하고 있음. |
미국 식품의약국 (FDA) |
FDA는 가슴보형물 제조업체 두 군데에 승인 후 연구 수행 요건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경고문을 발부했음. 해당 업체는 Mentor Worldwide LLC와 Sientra, Inc.임. 승인 후 연구는 이식용 실리콘젤의 장기 안전성과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고자 마련한 요건임. |
미국 캘리포니아주 환경보건 위해평가소 (OEHHA) |
생식독성이 있는 화학물질 엔헥산(n-Hexane)의 경구 및 흡입 최대허용수치를 추가했음. 경구 최대허용치는 일간 28,000㎍이며 흡입 최대허용치는 20,000㎍으로 규정은 2019.7.1. 발효됨. 엔헥산은 산업용 용매로 니스, 시멘트, 접착제 등에 널리 사용하는 물질임. |
연구 결과 칼슘이 풍부한 식단이나 칼슘 보조제를 섭취한다고 해서 노화에 따른 황반변성 위험이 높아지지는 않는다고 함. 황반변성은 미국의 65세 이상 고령자의 시력상실 및 실명의 주된 원인임. 이는 높은 양의 칼슘이 황반변성 발병률을 높인다는 이전 연구 결과에 상반되는 결과로 칼슘은 오히려 황반변성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고 함. |
|
미국 국립살충제 정보센터 (NPIC) |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도포하는 살충제 제품은 사용 후에 어린이, 성인, 다른 동물에 옮길 수 있어 치료제가 마르기 전까지 어린이와 다른 반려동물을 분리시켜야함. 반려동물은 몸을 털거나, 점프하는 등의 행동으로 살충제를 확산시킬 수 있음. 일부 기생충은 살충제가 아닌 의약품으로 제거할 수도 있으므로 수의사에 연락해 제품 사용 등의 정보를 문의할 것. 이외에 반려동물 관련 살충제 사용 시 전반적인 주의사항 내용을 제공함.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발표함. 군마현산 사슴 고기와 멧돼지 고기 시료 4종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발표함. 이와테현산 산새(山鳥)고기 3종, 후쿠시마현산 멧돼지 고기 3종과 산새 고기 1종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식품 중 방사성 물질의 검사 계획, 출하 제한 등 취급 관련 가이드라인을 개정했음. 주요 내용은 검사 대상 품목 재검토, 최근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 대상 품목에서 콩을 제외, 야생조수 육류의 경우 출하제한 설정 및 해제 조건을 개별적으로 규정하고 있음. |
중국 품질불량 관리센터 (DPAC) |
유아용 침대 관련 부상이 수시로 발생해 안전한 제품 사용법을 안내함. 유아용 침대는 낙상, 질식, 끼임, 찰과상, 타박상 등의 위험이 있음. 제품 구매 시에는 ▲ 신뢰할 수 있는 제조사가 제조한 제품을 구입하고 구입 전 실물을 살펴 제품의 재질, 외관 및 품질을 확인. 제품 정보가 완전한지 신중히 검토(안전성 테스트를 받은 제품 권장) ▲ 매트리스 위치에 매트리스 최대 허용 높이 주의문구 표시가 있는지 확인. 작은 돌기, 모서리의 날카로움, 구멍 또는 균열을 확인, 위로 솟아있는 디자인 제품 구입 금지 ▲ 청구서 및 구입 영수증을 보관하고 제품 사용 시에는 ▲ 개폐 가능한 쪽의 난간 확인. 레일을 위로 당기면 양쪽 고정 장치가 잠기는지 확인 ▲ 사용 시에 바퀴 고정 ▲ 정기적으로 강도를 점검. 강도 부족 시에는 즉시 제품 수리 또는 교체 ▲ 제품설명서 숙지 ▲ 매트리스와 침대 사이의 간격을 살펴 적절한 두께의 매트리스를 선택할 것. |
호주 뉴사우스 웨일즈 식품청 (NSW) |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는 달걀을 리콜하고 있으며 소비자에게 주방에 보관하고 있는 달걀이 리콜 제품인지 확인해보도록 촉구함. 해당 달걀은 섭취하지 말고 폐기할 것을 권함. 안전한 섭취를 위해 달걀은 흰자가 흐물한 부분 없이 단단하고 노른자는 부풀어 도톰해질 때까지 익혀 먹도록 함. 살모넬라 식중독은 열, 두통, 설사, 복통, 메스꺼움, 구토 증상을 동반하며 오염된 음식을 섭취한지 6~72시간 후에 증상이 시작돼 보통 4~7일간 지속됨. |
번호 | 제목 | 출처 | 게시일 | 조회수 |
---|---|---|---|---|
1131 | 2025년 7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7.10 | 22 |
1130 | 2025년 6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27 | 69 |
1129 |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3 | 83 |
1128 |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1 | 77 |
1127 |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76 |
1126 |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71 |
1125 |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56 |
1124 |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3.26 | 243 |
1123 |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3.17 | 240 |
1122 |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2.26 | 250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