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90401-190405)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822
게시일 2019.05.15
파일
해외  2019.4.1. ~ 4.5.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영국
소비자협회
(Consumers’
Association)

Duofix i-Size 베이스를 한 영유아 카시트 BabyStyle Oyster Carapace i-Size 제품을 대상으로 충돌 시험을 실시한 결과 전면 충돌 시 카시트가 베이스에서 분리돼 앞으로 튕겨 나가 실제 사고 발생 시 어린이가 중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짐. 해당 제품을 소지하고 있는 소비자는 Isofix 하단을 쓰지 말고 차량의 성인용 벨트를 사용해 제품을 설치한 후 사용하도록 권함.

영국
소비자협회
(Consumers’
Association)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월풀사의 회전식 건조기는 수리를 해도 계속 화재가 발생함. 2019.2월 기준 30명 이상이 수리한 건조기에 불이 붙고, 연기나 타는 냄새가 났다고 제보했음. 소비자협회 측은 제품안전표준사무소에 해당 정보를 제공했지만 사무소는 수리한 건조기의 위험성이 낮다는 결론을 내렸음. 소비자협회는 이 결론이 소비자의 안전보다 업체를 고려한 결과라고 비판함. 수리 받는다고 해서 완벽한 안전을 보장할 수 없지만 해당 제품을 사용 중인 소비자들에게 수리를 받기 전까지 제품을 사용하지 말고 제품 수리를 받도록 권함.

영국
소비자협회
(Consumers’
Association)

Cry Babies Nala 인형을 검사한 결과 법적 허용치를 초과하는 프탈레이트를 함유해 리콜을 실시 중임. 해당 제품은 작년 한해 전 세계적으로 130만개가 판매됨. EU에서는 프탈레이트 수준이 총 중량의 0.1%인 이상인 장난감을 금지함. 유럽에서는 2018.1월부터 약 170개의 인형이 프탈레이트 허용치를 초과해 리콜됨.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는 가소제로 사용하는 화학물질군으로 PVC 바닥재, 식품 포장, 비누, 향수 등의 개인위생용품에서 발견됨. 해당 물질은 생식계, 간, 갑상선, 발달 문제, 천식 등 호흡기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어린이는 물건을 입에 가져가는 경향이 있어 고위험군임. Which?는 프탈레이트 실험을 통과한 인형 장난감을 소개함.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전국적으로 식수의 과불화화합물(PFAS) 오염이 문제됨에도 불구하고 환경책임을 위한 공직자모임(PEER)이 미국 환경보호청의 화학물질 데이터 통보 데이터베이스 기록을 분석한 결과 여전히 상당한 양의 과불화화합물이 제조 중이었음. 2006~2016년 602종의 과불화화합물 화학물질이 상업적으로 이용되었으며 2012~2016년 최소 30종의 신규 화학물질이 제조됨. EWG는 환경보호청이 신규 물질을 안전성이 입증되기도 전에 허용하고 있으며 화학물질 업계가 유해 화학물질을 안전성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은 물질로 대체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촉구함.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s
Union)

자외선차단제 대신 자외선차단 기능이 있는 보습제를 선택할 수도 있음.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보습제의 차단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함. 연구에 참가한 사람들은 자외선차단제를 바를 때에 비해 보습제를 사용할 때 피부암이 흔하게 발생하는 위치인 눈 주변을 빠뜨리는 경향이 있었음. 자외선차단 기능이 있는 보습제 다수는 차단지수가 15인데 반해 미국피부과학회는 차단지수가 30 이상인 제품을 사용하라고 권고함. 또 자외선차단제든 보습제든 특히 눈주변을 비롯해 얼굴 면적에 최대한 넓게 바르는 것이 중요함. 보통 눈꺼풀, 안쪽 눈꺼풀과 코가 만나는 부분을 빠뜨리기 쉬움. 보습제 외에 자외선차단 효과가 있는 파운데이션 등 메이크업제품도 자외선차단제 대신 사용할 만큼 보호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으며, 자외선차단제가 제일 효과적이었음.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미국 CPSC, 캐나다 보건부, 멕시코 연방소비자보호위원회 세 기관은 공동으로 AC 충전기와 USB 충전기의 안전성 시험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권고를 개발함. 이번 조치는 단일 행정 지역의 회원국이 아닌 여러 정부가 소비자제품안전표준 권고를 공동으로 개발한 첫 사례이며 세 기관은 UL(미국), CSA 그룹(캐나다), 표준당국(DGN, 멕시코) 등 각국의 표준개발기구에 합동 공문을 송부했음.

미국
식품의약국
(FDA)

최근 특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전자담배 사용 후 발작이 일어난 사례가 보고됨. 2010~2019년 초까지 총 35건이 보고됨. 발작 또는 경련은 니코틴 중독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으며 니코틴이 들어간 전자담배액을 마셨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됨. 현재로서는 전자담배 흡연과 발작 위험 간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지, 또 특정 제품 브랜드, 사고 패턴 및 경위도 파악하기 어렵지만 제품 관련 안전 문제를 초기에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발표함. 현재는 문제 파악을 위한 추가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있음.

미국
식품의약국
(FDA)

고혈압 및 심장병 치료제인 안지오텐신 II 수용체차단제(ARBs)의 불순물 조사를 계속 진행 중임. 환자에게 약품을 처방할 때 고려할 수 있도록 평가 결과 니트로사민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ARB 약품 40종의 목록을 발표했음.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약물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FDA는 또한 지속적으로 제조업체와 협조해 허용치 이상의 니트로사민 불순물이 함유된 약품은 신속히 회수하고 있음.

미국
국립보건원
(NIH)

연구 결과 관절염 증상인 통풍을 치료하는 약품 콜히친이 고혈압, 고혈당 및 기타 심장병과 2형 당뇨병 위험을 높이는 대사증후군에 의한 합병증을 줄여줄 수 있다고 함. 해당 약품은 2형 당뇨병을 발생시키는 다중 단백질 복합체인 NLRP3를 억제함. 저자는 소규모로 시행한 이번 연구에 이어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내림.

미국
환경보호청
(EPA)

어린이의 납 노출 및 관련 건강 문제를 줄이기 위한 연방 조치 계획 하에 EPA가 조치한 시행 상황 보고서를 발표함. 1) 어린이의 납 노출 경감 2) 이해관계자와의 효과적 소통 3) 납 노출 및 관련 건강 위험 경감 관련 연구 지원 및 수행 등 목표별 진행상황과 후속 조치 내용을 알림.

일본
국민생활
센터
(NCAC)

타이어가 펑크 나면 공기압이 낮아져 브레이크 효과가 저하되거나 차량을 제어하기 힘들 수 있어 매우 위험함. 펑크 발생 시 대응 방법을 안내함. 크게 1) 응급수리 : 스페어 타이어 교체 혹은 응급수리키트를 활용한 보수 2) 로드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안으로 나눌 수 있음. 주의사항은 ▲ 차량에 제공되는 응급수리키트는 임시방편으로 한 번 사용한 다음 타이어 교체가 필요 ▲ 펑크 발생 시 대응 방법은 차량에 구비된 장비에 따라 다름. 사전에 장비와 작업 방법을 확인 ▲ 작업에 자신이 없거나 위험한 장소에서는 로드 서비스를 활용 ▲ 잭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땅이 단단하고 평평하며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소로 차량을 이동한 후 작업할 것.



총 게시물 1130 페이지 1 / 113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30 2025년 6월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27 23
1129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3 59
1128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1 55
1127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53
1126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50
1125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38
1124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26 226
1123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17 219
1122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26 235
1121 2025년 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13 264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