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90513-190517) |
---|---|
출처 | 위해정보팀 |
품목 | 품목없음 |
조회수 | 871 |
게시일 | 2019.05.24 |
파일 | |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 주요내용 |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EPA가 식수의 과불화화합물 화학물질의 법적 허용치를 설정하도록 요구하는 양당적 법안을 도입했음. 안전한식수법을 개정해 EPA가 2년 내에 모든 과불화화합물의 법적 허용치를 설정하도록 요구하게 됨.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식품 포장에 과불화화합물 화학물질을 금지하는 법안을 도입함. 이 법안은 식품 포장지 또는 포장에 사용되는 종이에 과불화화합물 사용을 금지하며 구체적으로 식품 포장, 취사도구, 식품 가공 및 처리 장비 등을 통해 식품에 접촉하는 과불화화합물 일체를 안전하지 않다고 간주함. |
유럽 식품안전청 (EFSA) |
동물과 동물성 식품의 잔류 수의약품과 오염원을 모니터링한 결과 권고 안전치 준수율이 높게 나타남. 금지 물질도 저조했음. 2017년 최대 허용치 초과 시료는 0.35%로 이전 10년간 보고된 0.25~0.37% 범위에 들었음. 금속 등 화학물질의 오염도가 제일 높았음. 카드뮴, 납, 수은, 구리가 가장 흔했음. |
독일 연방소비자 보호식품 안전청 (BVL) |
요리 프로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조리법을 전달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문가라 하더라도 음식에 부적합한 재료를 사용하는 등 모방하면 안 되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함. 맥주 캔에 닭을 굽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캔 외부의 페인트 성분이 식품 접촉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유해한 성분이 음식에 전달될 수도 있음. 유럽에서는 식품에 닿는 재료 및 제품을 식품 접촉 재료로 규제하고 있음. |
영국 제품안전 표준사무소 (OPSS) |
화재 위험이 있는 월풀 건조기 사용 소비자 대상 안전 권고를 발표함. 2004.4.~2015.9월 사이에 제조한 Hotpoint, Indesit, Creda, Swan, Proline 모델임. 아직 수리를 받지 않은 소비자는 당장 제품의 플러그를 뽑고 무상 수리를 받을 것. 수리를 받지 않은 제품은 50만대로 추산됨. 모든 소비자는 정기적인 먼지 필터 청소 등 제조업체의 지시를 항상 따라야 함. |
미국 식품의약국 (FDA) |
연속혈당측정기, 인슐린 펌프, 자동 인슐린 투입 기기 등 미승인·미허가 당뇨병 관리 기기 관련 위험에 관해 환자와 의료진에게 경고함. 해당 기기를 사용할 경우 정확하지 않은 측정 결과나 인슐린이 잘못 투입돼 부상을 입거나 사망할 수도 있음. FDA는 환자가 의사와 적절한 당뇨병 관리 기기를 상담할 것을 권하며 FDA의 안전 및 효능 검토를 받은 기기와 부품만 사용하도록 권장함. |
미국 국립살충제 정보센터 (NPIC) |
살충제의 라벨은 제품을 정확하고 합법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제품 관련 잠재적인 위험성, 중독사고 또는 제품 유출 시 지시사항 등을 담고 있음. 소비자는 제품 구입 전에 라벨을 꼼꼼히 읽어야 함. 살충제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제일 중요한 점은 라벨 전체를 읽고, 도포 장소로 언급하는 곳에만 도포하며 모든 살충제는 원래의 용기에 보관하는 것임. |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 (CDC) |
수영장 화학물질로 인해 부상을 입어 응급실을 방문하는 건수가 매년 4,500건 이상 발생함. 수영장 화학물질은 수중의 세균을 죽일 뿐만 아니라 잘못 다룰 경우 사람도 부상을 입힐 수 있음. 염소 용기를 열었을 때 화학물질 연기나 가스를 마신 데 따른 중독이 제일 많았음. 1/3은 예방할 수 있는 사고로 어린이나 청소년에게 발생했음. 부상의 절반 이상은 가정에서 발생했으며 2/3는 여름 수영철에 발생함. |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 (CDC) |
병아리, 오리 등 살아있는 가금류로 인한 살모넬라균 감염 사고 조사 내용을 발표함. 21개주의 52명이 감염되었으며 5명이 입원 치료를 받았음. 약 1/4은 5세 이하였음. |
여름철 안전하고 건강하게 근무하고 놀기 위한 8가지 조언을 안내함 ▲ 안전한 해외여행 : 해외여행 전에 목적지의 건강 및 안전 관련 위험을 확인 ▲ 수영장 안전 : 이용 예정 수영장의 최신 검사 기록을 확인 ▲ 15~24세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 ▲ 열과 자외선 차단 ▲ 어린이의 건강과 안전 : 자전거를 탈 때는 몸에 맞는 헬멧을 쓰고 차량 이동 시에는 키와 체중에 적합한 카시트, 부스터 시트 혹은 안전 벨트를 사용 ▲ 백신 접종 : CDC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홍역, 수두, 풍진 등 14개 감염성 질병 백신을 권고함 ▲ 식품 안전 : 여름철에는 식중독이 절정임. 바비큐 시 식품 안전 조언을 참고 ▲ 벌레 물림 방지 : EPA에 등록한 벌레 기피제를 사용해 벌레 물림으로부터 보호 |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공표함. 야마가타현산 곰고기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항암제 베지니오정이 간질성 폐렴이 발생해 사망한 부작용 사례가 보고돼 사용상의 주의 내용을 개정하고 경고란에 주의사항을 추가함과 동시에 의료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주의를 주도록 제조판매업자에게 지시했음. 약 복용 시 호흡 곤란, 기침, 발열 등 간질성 폐렴 초기 증상이 보이면 엑스레이 검사를 실시하는 등 환자의 상태를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함. |
일본 경제산업성 (METI) |
고령화 사회의 제품 안전 과제 조사 보고서를 발표함. 고령자의 제품 보유 상황 및 사용 연수(20년 이상 사용하는 이유), 제품의 취급 및 보수 상황, 사용 연수 및 점검 서비스 등에 대한 인식, 리콜 정보 인지 경로 등의 내용임. |
중국 품질불량 관리센터 (DPAC) |
자석 펜 제품은 심각한 어린이 안전 위험이 있어 안전한 사용법을 안내함. 펜의 자석 구슬은 쉽게 떨어져 아이들이 삼킬 수 있음. 삼킴에 따른 질식 위험이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자석은 삼켰을 때 위장 천공 등으로 어린이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음. 1~10세 아동이 특히 위험함. |
번호 | 제목 | 출처 | 게시일 | 조회수 |
---|---|---|---|---|
1130 | 2025년 6월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27 | 43 |
1129 |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3 | 69 |
1128 |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1 | 64 |
1127 |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61 |
1126 |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58 |
1125 |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43 |
1124 |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3.26 | 233 |
1123 |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3.17 | 226 |
1122 |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2.26 | 241 |
1121 |
2025년 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2.13 | 272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