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90701-190705) |
---|---|
출처 | 위해정보팀 |
품목 | 품목없음 |
조회수 | 906 |
게시일 | 2019.07.08 |
파일 | |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 주요내용 |
---|---|
영국 소비자협회 (Consumers’ Association) |
월풀사는 그동안 화재 위험이 있는 회전식 건조기의 전 모델명을 밝히지 않고 소비자가 홈페이지의 검색창에 모델명을 타이핑해 확인하게 했지만 7월 8일부로 자사 홈페이지에 전체 모델명을 공표하겠다고 했음. 월풀사는 올 초 영국에 아직 수리를 받지 않은 건조기가 무려 50만대로 추산된다고 밝힌 바 있음. |
미국 환경실무그룹 (EWG) |
캘리포니아 학교 20%의 식수에서 납이 5 ppb 이상 검출되었음. 납의 신경 독성은 건강에 평생 동안 영향을 끼칠 수 있음. 납의 경우 안전한 노출 수준은 없지만 미국소아과학회는 학교 식수의 납은 1 ppb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고 권고함. 캘리포니아주는 법으로 2010년 전에 지은 공립 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식수의 납 오염 여부를 7월 1일까지 검사하도록 했지만 식수대 및 이동식 식수대 전체를 검사하라고 명시하지는 않아 맹점이 있음.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s Union) |
최근 조사 결과 온라인에서 안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자전거 헬멧을 판매 중이었음. 미국에서 판매되는 제품이 준수해야 하는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의 기준에 의거한 검사를 받았다는 필수 라벨을 부착하지 않은 제품으로 안전성도 확실하지 않았음.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s Union) |
컨슈머 리포트는 자전거 헬멧의 안전성을 시험한 결과 1) Bontrager Ballista MIPS, 2) Morpher Flat Folding, 3)Woom Kids 세 개 제품이 리텐션 및 충격 흡수 시험을 통과하지 못해 ‘구입 금지 : 안전 위험’제품이라고 발표했음. 컨슈머 리포트는 이 검사 결과를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와 제조업체에도 통보했음.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s Union) |
여름철 소음으로부터 청력을 보호하는 방법을 안내함. |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농산물 직거래 장터 이용 시 식품별 주의사항을 안내함. |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스파와 판매자가 적외선 사우나가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홍보하는 사례가 있음. 캐나다에서 적외선 사우나에 대해 고혈압, 당뇨, 자폐증 등의 질환을 치료하고, 체중 감량, 통증 경감, 암 예방과 노화 방지 용도로 승인한 바 없음. 캐나다 보건부는 의학적 용도로 허가를 받지 않은 적외선 사우나와 관련해 모든 홍보와 판매를 즉시 중단하도록 요청하며 만약 계속해서 홍보와 판매가 이루어질 경우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경고함. |
미국 국립보건원 (NIH) |
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 인해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은 환자를 연구한 결과 투여량이 높을수록 유방암 등 고형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률도 높아졌음. 방사성 요오드 치료는 1940년대부터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치료하는데 널리 이용하는 치료 방법임. 방사선은 대부분 갑상선에 흡수되는데 유방이나 위 등의 장기도 치료 기간 동안 방사선에 노출돼 암이 발생할 수 있음. 여성 유방암의 경우 100mGy 마다 유방암으로 인한 치사율이 12% 높아졌으며 그 외의 고형 암의 경우 100 mGy마다 치사율이 5% 증가했음. |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 (CDC) |
8개주 71명이 멕시코산 파파야로 인해 살모넬라균에 감염됨. 27명이 입원치료를 받았음. 원인은 Cavi 브랜드의 통 파파야일 가능성이 있음. 해당 브랜드의 파파야는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먹거나 식당에서 판매하지 말 것. 더 이상 멕시코산 파파야 전체를 피하라고 권하지는 않음. |
일본 소비자청 (CAA) |
전동 톱을 잘못 사용해 신체 절단 사고가 발생하고 있음. 61%는 60대 이상 고령자 사고임. 전동 톱을 사용할 때 주의사항을 안내함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발표함. 이바라키현산 산나물 코시아부라 8건과 토치기현산 멧돼지고기 7건, 총 15건 시료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
번호 | 제목 | 출처 | 게시일 | 조회수 |
---|---|---|---|---|
1110 |
2024년 8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8.30 | 377 |
1109 |
2024년 8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8.30 | 352 |
1108 |
2024년 7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7.29 | 394 |
1107 |
2024년 7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7.24 | 380 |
1106 |
2024년 6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7.03 | 437 |
1105 |
2024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6.18 | 446 |
1104 |
2024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6.18 | 401 |
1103 |
2024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6.18 | 459 |
1102 |
2024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6.18 | 396 |
1101 |
2024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6.18 | 364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