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90708-190712)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946
게시일 2019.07.15
파일
해외  2019.7.8. ~ 7.12.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영국
소비자협회
(Consumers’
Association)

월풀사는 화재 위험이 있는 회전식 건조기 목록을 발표했음. 627개 모델이었으며 모델명 외에 브랜드명은 발표하지 않았음. 300개 이상의 모델은 영국 외의 지역에서 판매된 것으로 파악됨. 2004.4.~2015.10. 기간에 제조한 Hotpoint, Indesit, Creda, Swan, Proline 등의 브랜드 제품이며 리콜 해당 제품이라고 확인되면 전원 플러그를 뽑고 제품 수리를 받을 때까지 사용하면 안 됨.

영국
소비자협회
(Consumers’
Association)

월풀사는 화재 위험이 있는 회전식 건조기의 리콜을 발표했음. 7월 11일부터 제품 수리를 받지 않은 소비자는 제품을 무상 교환 받을 수 있게 됨. Which?는 정부가 리콜을 엄중히 감독해야 하며, 수리를 받았지만 여전히 화재 위험이 있는 기존 제품의 안전도 확보해야 한다고 언급했음.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s
Union)

탄산 및 스포츠 음료 등 과당 음료는 미국인이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설탕의 주요 원인임. 어린이 및 청소년 약 60%, 성인 절반이 매일 과당 음료를 적어도 하나씩 섭취한다고 함. 과당 음료를 마시면 비만, 2형 당뇨, 고혈압,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진 사실이지만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자연당을 함유한 100% 과일 주스를 포함해 과당 음료는 암 발생 위험도 높일 수 있다고 함. 이는 과당 음료가 발암 위험 요인인 과체중을 유발하기 때문임.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s
Union)

수돗물의 과불화화합물(PFAS)이 문제가 되었지만 시판 중인 생수에도 임산부, 모유수유 여성 또는 분유를 먹는 영유아 대상 안전 권고치보다 높은 수준의 PFAS 물질이 함유돼 있는 것으로 밝혀짐. 해당 생수는 매사추세츠주 Spring Hill Farm Dairy에 수원지를 둔 제품으로 매사추세츠주와 인근 지역에서 판매됨.

업체와 매사추세츠주 공중보건부는
▲ 임산부, 모유수유 여성, 영유아는 7.24일 전에 Spring Hill에서 주입한 특정 브랜드의 물을 마시지 말고
▲ 식수 및 요리용으로 PFAS를 함유하지 않은 물을 사용하며
▲ 분유는 물을 넣지 않아도 되는 제품을 쓰거나 분유 제조 시 일시적으로 다른 물을 사용하라고 권고함.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물놀이철이 다가오면서 풀장이나 스파의 물을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살균할 것을 권함. 물이 깨끗해 보이더라도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제대로 살균하지 않은 물에서 수영하거나 목욕할 경우 귀와 장에 염증과 피부 발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질은 매일 검사하는 것이 중요함.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임산부는 면역력이 약해져 식중독에 걸릴 위험이 높으므로 특히 식품 안전에 주의해야 함. 또 리스테리아 등의 식중독균은 임산부보다 태아에 더 위험할 수도 있음.

식중독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 음식을 만지기 전과 후에는 손을 씻고, 도마, 접시, 주방기구, 조리대를 가끔씩 따듯한 비눗물로 세척. 장을 보는 에코백은 자주 세탁기에 빨 것
▲ 생고기, 가금류, 해산물은 다른 음식과 구분해 둬 교차 감염을 막음
▲ 음식 내부를 안전할 때까지 익히고 식품 온도계를 사용해 온도를 확인
▲ 4℃ 이하의 온도에서 식품과 남은 음식을 냉장. 생고기, 가금류, 생선은 실온이 아닌 냉장고, 냉수나 전자레인지에서 해동. 전자레인지에서 해동한 식품은 즉각 조리. 해동시킨 식품은 재냉동 하지 말 것.

이 외에 임신 기간에 피해야 할 음식으로 1) 익히지 않거나 덜 익힌 고기, 가금류, 해산물 2) 훈제 냉장 해산물 3) 생 새싹 채소 4) 무살균 주스, 사과주, 우유 5) 무살균 또는 저살균한, 푸른 반점이 있는 치즈 6) 추가로 가열해 먹지 않는 냉장 파테, 비건조 가공 육류, 핫도그 7) 생달걀 또는 무살균 달걀로 만든 익히지 않는 식품을 꼽음.

캐나다
교통국
(Transport
Canada)

자동차 제조업체가 안전 결함에 관해 더욱 상세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규정을 개정함. 결함의 성격과 수리를 완료하기까지 예방 조치도 분명히 설명해야 함. 일부 업체는 이미 자발적으로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지만 모든 제조업체가 의무적으로 이행하도록 요건을 추가함. 제조업체는 또한 교통국에 사건 연대기, 품질보증 하자요구, 현장실정 또는 서비스 보고서, 차량 소유주 및 대리점에 결함 또는 규정 미준수 통지 발송 시점 등의 정보도 제공해야 함.

미국
캘리포니아주
환경보건
위해평가소
(OEHHA)

캘리포니아주 환경보호청의 환경보건 위해평가소는 식수 안전 및 독성물질 집행법(65조 법령)에 따라 발암 물질 목록에 1) 2-아미노-4-클로로페놀, 2) 2-클로로니트로벤젠, 3) 1,4-다이클로로-2-니트로벤젠, 4) 2,4-다이클로로-1-니트로벤젠, 5) N-디메틸아세트아미드, 6) 파라-니트로아니솔을 추가하고자 함.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
(CDC)

미국에서 밀가루로 인해 발생한 대장균 O26 감염 관련 최종 조사 결과를 공표함. 2018.12.11.부터 9개주의 총 21명이 대장균에 감염되어 3명이 입원 치료를 받았음. 사고는 종료된 것으로 보이나 리콜 제품의 유통 기간이 길어 소비자의 가정에 아직 제품을 보관 중일 수도 있음. 소비자는 집에 리콜 제품이 있는지 확인하고 제품을 폐기할 것. 해당 제품은 사용하면 안 됨.

일본
소비자청
(CAA)

7월 22일부터 28일을 어린이 사고방지 주간으로 정해 수영, 낚시, 자전거 탑승, 차량 이동 등 외출 시나 외부에서 놀이 시 어린이 안전 대책을 마련하도록 촉구함.

일본
후생노동성
(MHLW)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발표함. 니가타현산 산나물 코시아부라 3종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일본
후생노동성
(MHLW)

가정 내에서 산소농축장치를 사용 중인 환자가 화재로 사망하는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해 재차 주의를 촉구함. 환자 및 보호자 대상 주의사항으로는 1) 고농도 산소를 흡입하는 동안 담배 등의 화기를 가까이하면 튜브나 옷에 불이 붙어 심각한 화상이나 주택 화재의 원인이 됨 2) 산소 집중 장치 주변 2m 이내에는 화기를 두지 말 것. 특히 담배는 절대 피우면 안 됨 3) 화기 취급에 주의하고 설명서를 따라 사용하면 안전하므로 지나치게 걱정하지말고 의사의 지시대로 제품을 사용하면 됨.

일본
후생노동성
(MHLW)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발표함. 니가타현산 산나물 코시아부라 2종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일본
후생노동성
(MHLW)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발표함. 니가타현산 산나물 코시아부라 2종, 미야기현산 두릅 2종, 미야기현산 코시아부라 7종, 미야기현산 죽순 5종, 야마가타현산 곰고기 2종, 총 18건의 시료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호주
식약청
(TGA)

줄기세포 치료 규정을 강화함. 새로운 규정은 소비자가 암과 혈액 질환 관련 기존 치료는 계속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입증되지 않았거나 유해한 치료를 방지하고자 함. 1년의 이행 기간을 두고 2019.7.1.부터 시행됨. 새로운 규정에 따르면 병원 외의 세포 및 조직 제품을 제공하는 업체 전체는 호주 식약청(TGA)의 안전·품질·효능 요건을 준수해야하며 위반 시 형사 처벌을 받게 됨. 병원에서 제공하는 줄기세포 치료는 규정에서 제외될 수 있는데 제공하는 치료의 적절성과 안전성을 판단하는 건 병원의 몫이기 때문임.

호주
식약청
(TGA)

유방 확대술의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BIA-ALCL) 부작용 관련 검토를 완료하고 제품 허가 취소라는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 7월 24일까지 제조업체로부터 추가 정보를 받고자 함. 취소 예정 제품은 재질이 거친(textured) 형만 해당되며 엘러간사의 9개 제품임. 제품은 허가가 취소되면 호주에서 수입, 제조, 수출할 수 없게 됨. TGA는 업체에 시중에 남아있는 제품 전체를 회수하도록 제품 리콜을 제안하고 있음. BIA-ALCL은 천 명~만 명당 1명꼴로 드물게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전문가는 기존에 확대술을 받은 사람은 문제가 없다면 보형물을 제거하라고 권하지는 않음.

호주
경쟁소비자
위원회
(ACCC)

바운서 등 영유아 제품의 안전성 검토를 실시한다고 발표함.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미국에서 바운서를 사용하다가 최소 74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음. 보통 아기가 등을 대고 누워 있다가 굴러 엎드리거나 몸을 옆으로 두게 돼 질식해 사망하였음. ACCC는 호주에서 판매한 Fisher-Price Rock‘N Play Sleeper(미국에서 사망 사고 30건 이상 발생), Kids II Rocking Sleeper(미국에서 사망 사고 5건 발생) 모델 전체를 자발적으로 리콜하라고 권고했으며 브랜드와 제품 종류를 확대해 대대적으로 제품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함.



총 게시물 1130 페이지 3 / 113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10 2024년 8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4.08.30 370
1109 2024년 8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4.08.30 345
1108 2024년 7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4.07.29 387
1107 2024년 7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4.07.24 372
1106 2024년 6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4.07.03 430
1105 2024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4.06.18 438
1104 2024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4.06.18 394
1103 2024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4.06.18 452
1102 2024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4.06.18 389
1101 2024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4.06.18 353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