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90729-190802) |
---|---|
출처 | 위해정보팀 |
품목 | 품목없음 |
조회수 | 833 |
게시일 | 2019.08.05 |
파일 | |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 주요내용 |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유럽식품안전청은 전 세계적으로 과일과 채소에 많이 쓰는 농약 클로피리포스가 유럽연합의 사용 승인 갱신 기준에 부합하지 않다고 발표함. 이는 유럽연합에서 클로피리포스를 금지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임. 이에 반해 트럼프 행정부는 클로피리포스 사용을 금지하려는 전 행정부의 방침을 거슬러 복숭아, 체리, 사과, 오렌지, 옥수수 등 관행 농업으로 재배한 식용 작물에 여전히 허가하고 있어 미국인의 건강이 우려되는 상황임.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s Union) |
치명적인 곰팡이 감염증인 칸디다 오리스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음. 해당 균은 항생제에 강한 내성이 있어 치료가 어려우며 치사율도 높음. 확산 원인은 기후 변화 등이 거론되나 명확하지 않음. 감염자 다수는 병세가 위중하거나 입원치료를 받고 장기간 시설에 있었던 사람들이었음. 칸디다 오리스 균은 침대 난간, 의자, 카테터, 장비, 의료인의 손 등을 통해 병원이나 시설에서 확산됨. 병원, 요양원, 재활시설에 가족 등 지인이 있을 때 주의사항을 안내함. 가족과 지인은 병실을 방문할 때마다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하며 환자들도 자주 손을 씻도록 권함.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s Union) |
고령자가 얼굴 마사지, 네일케어 등의 관리를 안전하게 받는 방법을 안내함. |
미국 도로교통 안전국 (NHTSA) |
7월 31일 전국열사병예방의 날을 맞아 전국안전협회와 도로교통안전국은 차량 내 아동 열사병 예방법을 홍보함. 올해만 20명이 넘는 어린이가 뜨거운 차에 혼자 남겨지거나 갇혀서 사망했음. 차주들은 주차 시 항상 차문을 잠그고 부모는 자녀에게 차 안은 노는 장소가 아니라는 사실을 가르쳐야 함. 어린이는 단 1분도 차량에 혼자 두지 말 것. 창문을 내리는 것도 내부 온도를 낮추는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열사병은 차를 음지에 주차했을 때도 발생한 바 있음. |
일본 소비자청 (CAA) |
건강 식품 이용 관련 리플렛과 책자를 게재함. 내용으로는 건강식품과 의약품의 차이, 건강 식품의 문제점(건강 식품에 의한 건강 피해, 광고 문제, 경제적 피해) 등을 다루고 있으며 소비자가 자주 하는 20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1) 사용 판단, 2) 제품 선택 관련 정보, 3) 사용 시 주의사항)도 제공함. |
일본 소비자청 (CAA) |
보조배터리 관련 소비자의 주의를 촉구함. 보조배터리는 잘못 취급하면 발열에 의한 화상을 입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태국산 두리안에서 농약 프로시미돈이 검출돼 두리안과 단순 가공품에 대한 검사 명령을 실시했음. 검출량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임. |
일본 국민생활 센터 (NCAC) |
캡슐형 알약 형태 건강 식품의 품질 관련 실태조사를 실시함. 해당 제품은 형태로 인해 의약품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지만 품질 관리는 의약품의 수준에 미치지 못함. 100개 시료 중 42개 제품의 캡슐은 의약품에 규정한 시간 내에 분해되지 않았으며 기능성 성분의 양도 표시함량과 차이가 있었음. 또 유사한 제품 간에도 성분 양이 다양했음. |
중국 식품안전 센터 (CFS) |
6월 식품안전보고서를 발표함. 12,000 여개 식품 시료의 미생물, 화학물질,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음. 10개 시료를 제외한 99.9%의 시료가 기준에 부합했음. 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시료는 허용치를 초과한 잔류농약이 검출된 과일 2종, 산업용 염료 말라카이트 그린이 함유된 초어, 장어구이, 담수 농어 3종, 살모넬라균이 함유된 치킨볶음면과 하이난 치킨라이스, 허용치를 초과한 수은이 검출된 황새치, 방부제가 과량 검출된 상해식 국수, 허용하지 않는 방부제가 검출된 채식용 두부롤임. |
번호 | 제목 | 출처 | 게시일 | 조회수 |
---|---|---|---|---|
1111 |
2024년 9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9.23 | 331 |
1110 |
2024년 8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8.30 | 385 |
1109 |
2024년 8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8.30 | 359 |
1108 |
2024년 7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7.29 | 402 |
1107 |
2024년 7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7.24 | 392 |
1106 |
2024년 6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7.03 | 444 |
1105 |
2024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6.18 | 459 |
1104 |
2024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6.18 | 411 |
1103 |
2024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6.18 | 469 |
1102 |
2024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4.06.18 | 409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