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90805-190809)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808
게시일 2019.08.13
파일
해외  2019.8.5. ~ 8.9.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s
Union)

자전거 헬멧은 머리 부상과 사망 위험을 극적으로 줄여줌. 자전거에서 한 번 떨어져 머리를 부딪혔을 경우 새 제품으로 교체해야 함. Consumer Report의 전문가 안전성 평가에 따른 성인(로드/산악, 스케이트 스타일/어번)과 어린이 대상 추천 제품을 소개함.

독일
연방위해
평가원
(BfR)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PAH)는 공구, 장난감, 전기 제품 손잡이, 의류의 고무, 플라스틱, 엘라스토머(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에 함유 가능한 물질로 일부 PAH는 발암 물질로 분류됨.

GS 마크는 제품을 3가지 범주로 나눠 최대 PAH 허용치를 규정하고 있음. 1) 장시간(30초 이상) 피부 접촉 장난감이나 입에 넣을 수 있는 제품 2) 1을 제외한 예측 가능한 장기 피부 접촉 또는 반복적 단기 피부 접촉 제품, 3) 예측 가능한 단기 피부 접촉 제품으로 제품군에 따라 0.2mg/kg, 0.5mg/kg, 1mg/kg으로 허용치를 규정하고 있음.

연방위해평가원은 기술적으로 PAH를 킬로그램 당 0.2mg 미만으로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GS 인증 마크의 허용치 수준을 달성 가능치인 0.2mg/kg 수준으로 낮출 것을 권장함.

독일
연방소비자
보호
식품안전청
(BVL)

2018년 식품 및 사료 관련 유럽신속경보시스템(RASFF) 접수 결과를 발표함. 접수된 3,600여건 가운데 독일 관련 정보는 926건이었음. 견과류 및 견과류 제품이 16.2%를 차지했으며 과일과 채소(13.7%), 식품보조제(8.9%) 순이었음. 보고서의 위해 원인으로는 살모넬라, 리스테리아 등의 미생물 감염이 30% 이상, 곰팡이 독소 등 미승인 성분이 14.7%, 유해 성분이 8.2%를 차지했음. 원산지를 살펴보면 14.8%는 독일이었으며 중국 8.3%, 터키 8.0% 순이었음. 중국산 정보 다수는 멜라민이 식품으로 방출되는 대나무, 옥수수 전분 식기 등의 식품접촉재료였음.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2003~2013년에 에어바운스 등 공기주입 기구로 12명이 사망했음. 2018년 에어바운스로 인해 부상을 입고 응급실 치료를 받은 사고는 18,000건이 넘었음. 에어바운스 관련 부상으로는 절단, 멍, 염좌, 골절, 머리 부상 등이 있었음. 2018년 ASTM(미국재료시험협회)은 가정용 공기주입 놀이기구 표준을 개정한 바 있음. 개정한 부분은 고정 및 가시성 관련 요건이었음.

에어바운스 사용 시 소비자 주의사항으로는
▲ 바람이 불 경우 사용하지 않음. 최대 풍속이 15~25 mph를 넘으면 안 됨(나무 가지 상단이 흔들릴 경우)
▲ 제조업체의 설치 지침을 따름
▲ 평평하고 지면이 고른 장소에 설치하고 제대로 말뚝을 박아 고정
▲ 나무 가지나 전선, 울타리 근처에 설치하지 않음
▲ 나이와 체구가 같은 어린이만 동시에 놀게 하고 항상 최대 허용 인원을 확인
▲ 안전한 놀이 규칙 마련. 어린이에게 덤블링, 레슬링, 공중제비 금지 교육
▲ 가스발생기 또는 에어 펌프 주변에 어린이 접근 금지
▲ 성인이 항상 감독해야 함.

미국
환경보호청
(EPA)

글리포세이트 등록업체 대상 가이던스를 발표했음. 환경보호청은 글리포세이트가 발암물질로 알려졌다고 언급하는 제품 라벨을 더 이상 승인하지 않을 것. 캘리포니아주 65조항의 영향으로 이와 같이 표시한 제품이 있지만 이는 대중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다며 불허하겠다는 입장임.

미국
농무부
(USDA)

손씻기는 식중독 등의 질병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 위생적인 손씻기 및 도시락 싸는 방법을 안내함.

▲ 손씻기 : 1) 깨끗하고 따뜻한 물에 손을 적심 2) 비누를 묻힌 다음 최소 20초간 양손을 문지름. 손등, 손가락 사이, 손톱 밑도 문지를 것 3) 흐르는 깨끗한 물에 손을 헹굼 4) 깨끗한 수건이나 페이퍼타월에 닦음.

▲ 도시락 싸기 : 1) 런천미트, 달걀, 치즈, 요거트 등 상하기 쉬운 음식을 넣을 경우 아이스 팩 등을 두 개 이상 사용해 포장, 주스나 물을 얼려 아이스 팩으로 쓸 수 있음. 주스나 물은 밤새 얼린 다음 아이스팩을 1개 이상 같이 넣음 2) 수프, 스튜 등 뜨거운 음식을 쌀 때는 보온 도시락 이용. 보온 도시락을 끓는 물로 채운 뒤 몇 분 간 둔 다음 비우고 음식을 넣음. 자녀에게 점심시간까지 보온병을 열지 말라고 알림 3) 전날 밤에 도시락을 싸면 도시락을 밤새 냉장고에 보관함.

일본
후생노동성
(MHLW)

이탈리아산 피스타치오넛 가공품(피스타치오넛 30% 함유)에서 발암성 곰팡이 독소 아플라톡신이 검출돼 해당 식품의 검사 명령을 내림.

일본
국민생활
센터
(NCAC)

2018년도 전국 소비생활정보 네트워크 시스템(PIO-NET)에 수집된 위해·위험 정보 내용을 제공함. 위해 정보는 상품, 서비스, 시설을 사용하다 신체에 상해, 질병 등을 입은 경우(위해 정보)와 피해를 입지는 않았지만 피해 우려가 있는 정보(위험 정보)를 의미함.

2018년 위해·위험 정보는 13,685건으로 전년 대비 6.1% 감소했음. 위해 다발 품목은 화장품, 건강식품, 의료서비스였으며 위험 다발 품목은 4륜 자동차, 조리 식품, 전화 관련 기기였음. 전년도 대비 특이사항으로는 속눈썹 미용액 상담이 235건 증가했으며 음료가 164건, 세탁 세제는 71건 감소했음.

일본
국민생활
센터
(NCAC)

속눈썹 영양제로 인한 피해가 급증함. 해당 제품은 마스카라처럼 브러시나 스폰지, 또는 손으로 직접 속눈썹 주변에 도포하는 제품으로 윤기를 주는 등의 효과가 있는 제품임. 붓기, 각막 궤양, 가려움, 속눈썹 빠짐 등의 피해 상담을 받은 건수가 2015년 이후 381건이었음. 조사 결과 두발에 사용하는 용도인 육모제를 속눈썹 영양제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과대 광고를 하는 제품도 있었음.

전문가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질이나 사용 시기에 따라 자극 및 알러지에 의한 가려움, 통증, 붓기 등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식물성 성분이나 알코올 성분은 사용 부위에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기 쉽다고 함. 소비자는 제품 구매 시 신중히 검토하고 피부 이상이나 눈에 통증, 위화감이 나타날 경우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증상에 따라 피부과나 안과에서 진찰을 받을 것. 의약외품으로 판매하는 육모제는 두발용이며 속눈썹에 도포 시 효능이 승인되지 않았으므로 속눈썹에 사용하지 않도록 함.

호주
식약청
(TGA)

유방 보형물 제조업체 엘러간사는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BIA-ALCL) 발생 위험이 있는 매크로 텍스쳐형 보형물과 조직 확장기를 대상으로 리콜과 주의보를 발표함.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은 드물게 발생하기 때문에 전문가는 문제가 없는 환자들은 보형물을 제거하라고 권하지 않음.

호주
경쟁소비자
위원회
(ACCC)

2017.7. 이후 리콜 대상 다카다 에어백이 80% 이상 교체되었음.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지방민, 다문화 집단의 이행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짐. 이에 따라 경쟁소비자위원회는 특정 지역과 집단에 리콜의 중요성과 이행 필요성을 전달하기 위해 주요 단체와 간담회를 열거나 해당 집단을 방문하고, 부모의 영어 실력이 좋지 않은 경우 자녀에게 리콜 여부 확인을 돕도록 권장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총 게시물 1130 페이지 1 / 113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30 2025년 6월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27 18
1129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3 55
1128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1 51
1127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49
1126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48
1125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38
1124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26 225
1123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17 217
1122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26 234
1121 2025년 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13 263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