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0809-210813)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731
게시일 2021.08.18
파일
해외  2021.8.9. ~ 8.13.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세계
보건기구
(WHO)
■ 코로나 백신 교차 접종 관련 임시 성명 발표
WHO는 코로나19 백신 교차 접종 관련 임시 성명서를 발표했음. 교차접종 실시 이유와 현재까지의 정보를 제공함. WHO는 2회 접종을 보통 동일한 백신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권고하지만, 서로 다른 백신으로 접종을 2회 실시했다고 해서 추가로 접종할 필요는 없음. 현재로서 교차 접종은 인가되지 않는 방식이므로 백신 공급 중단 상황 등 위험보다 이익이 크다고 판단할 때만 실시해야 함.
세계
보건기구
(WHO)

■ 백신 분할 투여 관련 임시 성명 발표
WHO는 백신 공급 제한 등으로 코로나19 백신 투여량을 분할해 접종하는 전략에 대한 임시 성명서를 발표했음. 투여량 경감에 대한 정책 권고는 면역성과 안전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를 검토한 후에 시행해야 함. 현재 모든 코로나19 백신 긴급 사용 승인은 정량을 투여한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므로 추가 임상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임.

세계
보건기구
(WHO)

■ 추가 접종(부스터샷) 관련 임시 성명 발표
WHO는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에 대한 임시 성명서를 발표했음. 전문가자문단은 부스터샷의 필요성과 시기와 관련해 최신 정보를 검토 중임. 부스터샷 도입은 확실한 근거를 바탕으로, 제일 필요한 집단을 대상으로 시행해야 함. 현재까지 백신 접종 완료 후에 전반적으로 부스터샷 접종이 필요하다는 증거는 제한적이며 결론을 내리지 못했음.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CDC 링크

■ 냉동 치킨 가공식품, 살모넬라증 위험으로 리콜
USDA는 8개주의 28명이 여러 냉동 치킨 식품을 먹고 살모넬라증에 걸렸다고 발표했음. 8명은 입원 치료를 받았음. 브로콜리, 치즈 등으로 닭고기 속을 채워 빵가루를 입혀 판매하는 제품으로 Dutch Farms, Milford Farms, Kirkwood 브랜드명 식품 약 6만 파운드 가량을 리콜 조치함.

영국
식품표준원
(FSA)

■ 유전자변형 식품/신식품 관련 국제 규제 분석 보고서 발표
FSA는 유전자변형 식품 및 신식품 관련 국제 규제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음. 정의, 법, 승인 절차, 생산 표준 등 식품안전규제의 여러 측면을 조사한 자료임.

미국
식품의약국
(FDA)

■ 면역저하자 대상 백신 추가 접종(부스터샷) 허용
FDA는 장기이식자 또는 면역저하에 상응하는 진단을 받은 사람 등 일부 면역저하자들을 대상으로 화이자 및 모더나 백신 추가 접종을 허용하도록 긴급사용 승인을 수정했음. 현재로서는 이 외의 사람들은 추가 접종이 필요 없음.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
(CDC)

■ 유비저 4명 발병, 원인 조사 중
CDC는 드물게 발생하는 질병인 유비저(melioidosis, 버크홀데리아 슈도말리균으로 인해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병) 1건이 추가로 발생한 것을 확인했음. 이전에 다른 주에서 발생한 3건과 관련이 있었음. 4명 중 2명이 사망했음.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현재로서 CDC는 수입 제품(식품이나 음료, 개인용 위생 제품, 세척제나 의약품)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함.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
(CDC)

- CDC 자료

■ 임산부 대상 백신 접종 권고
CDC는 임산부의 코로나19 백신 안전성 분석 정보를 발표했음. 임산부,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 모유수유 중인 여성 등 12세 이상 모든 사람들에게 백신 접종을 권고함. 새로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임신 20주 전 mRNA 백신을 접종받은 임산부 약 2,500명에게서 유산 위험이 증가하지 않았음. 임신 후기 접종자에게 안전 우려가 없다는 정보와 더불어 임산부의 백신 접종 이익이 위험을 능가하는 것으로 판단됨.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감시 결과 발표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발표함. 이바라키현산 아카야마도리 버섯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방사성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중국
홍콩
식품안전
센터
(CFS)

■ 인도네시아산 생선 및 포장 시료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돼 관련 조치
CFS가 8월 10일에 인도네시아에서 항공기로 수입한 병어와 포장 시료를 수거해 검사한 결과, 2개의 병어 시료와 1개의 포장 시료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나왔음. 바이러스 양은 낮은 수준이었음. CFS는 해당 수입 식품의 판매처를 조사하고 관련인을 격리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으며 관련 장소의 세척과 살균을 실시했음.

뉴질랜드
1차산업부
(MPI)
■ 식품기인성 질병 위험 있는 Paroa Bay 브랜드 굴 리콜
뉴질랜드 노스랜드와 오클랜드 지역에서 식품기인성 질병이 여러 건 보고됨. 원인으로 의심되는 Paroa Bay 브랜드 굴을 리콜했음. 해당 식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제품을 섭취하지 말고 소매점에 제품을 반품한 뒤 전액 환불을 받거나 제품을 폐기하도록 함.
뉴질랜드
1차산업부
(MPI)

■ 리스테리아증 위험 있는 숙주나물과 어린잎 샐러드 리콜
뉴질랜드 전국에서 판매된 Spring Life 브랜드 숙주나물과 Pams 브랜드 스위트 망고 어린잎 샐러드가 리스테리아균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리콜함. 리스테리아균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할 경우 리스테리아증에 걸릴 수 있으며, 임산부, 태아, 신생아, 면역저하자, 고령자는 특히 취약함.



총 게시물 1130 페이지 1 / 113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30 2025년 6월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27 44
1129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3 69
1128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1 64
1127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61
1126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58
1125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43
1124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26 233
1123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17 226
1122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26 241
1121 2025년 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13 272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