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0823-210827)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684
게시일 2021.08.31
파일
해외  2021.8.23. ~ 8.27.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유해한 요힘빈, 시네프린 함유 식품보조제, 판매 차단 조치
Which?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요힘빈과 시네프린 성분이 함유된 알약과 가루 제품을 중점적으로 조사한 결과, 판매 중인 제품 수십 개를 발견해 이베이, 위시, 알리익스프레스에 알려 판매 중단 조치하도록 했음. 주로 체중감량제와 운동보조제로 판매하는 제품임.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은 해당 성분을 의사의 감독 하에 사용하지 않으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고 당부했으며, 특히 혈압과 심박수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음. Which?측이 실제로 구입한 제품 일부에는 주의문구와 복용량 정보가 없는 경우도 있었음.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부스터 시트, 보호 효과 떨어져 등받이 카시트 추천
등받이가 없는 부스터 카시트는 가격이 저렴하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음. 또 판매 및 구입도 합법적임. 하지만 특히 측면 충돌 시 보호 효과가 떨어짐. 2021.2. Which?측이 12세 미만 자녀를 둔 부모 2,021명을 대상으로 부스터 시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1/3 이상이 부스터 시트가 등받이 시트와 동일한 보호 효과가 있다고 잘못 생각하고 있었음. Which?는 유아가 차로 이동할 때 사이드윙, 헤드레스트가 있는 등받이 카시트를 사용하도록 권장함.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FDA 링크

■ 미 FDA, 식품의 과불화화합물(PFAS) 검사 결과 발표 : EWG는 위험성을 축소했다며 비판
미국 FDA는 피넛 버터, 영유아 식품, 스낵 칩, 시리얼 등 167개 가공식품의 PFAS 오염도를 평가했음. 생선스틱(fish stick), 참치캔, 단백질 파우더를 제외한 164개 품목에서 PFAS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PFAS 때문에 특정 음식을 피할 필요는 없다고 발표했음.
EWG는 FDA의 검사 방법으로 인해 결과가 축소되었을 수 있으며, FDA가 검출 한계치를 낮췄다면 더 많은 PFAS가 검출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음. 또한 FDA가 식품 화학물질의 위험에 관해 소비자에게 조언할 때 식수 등 다른 PFAS 노출 경로는 계속해서 무시하고 있다며 비판했음.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CDC 링크

■ Fratelli Beretta 브랜드 델리 미트, 36명 살모넬라증 감염 사고 원인 가능성 지목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현재 진행 중인 살모넬라 감염 사고의 원인이 Fratelli Beretta 브랜드 안티파스토 트레이 제품일 가능성을 제기했음. 소비기한이 2022.2.11.인 포장 제품으로, 살모넬라증에 감염된 36명 중 대부분이 이 제품을 섭취했다고 응답했음. CDC는 또 다른 제품이 관련되었는지 조사 중임.

영국
식품표준원
(FSA)

■ 범혈구감소증 증가 사고 관련 최신 소식 제공 : 원인 못 밝혀 계속 조사 중
FSA 및 스코틀랜드 식품표준원은 범혈구감소증 발생건 증가 관련 최신 소식을 제공함. 6.17.에 리콜 발표한 일부 고양이 사료에서 과도한 곰팡이 독소가 발견되긴 했지만, 곰팡이 독소와 범혈구감소증은 인과관계가 없으므로 제조업체는 지역 당국과 협의해 제품 생산 재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여러 당국이 공조해 발생 원인을 조사 중임.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Eco-Med Pharmaceuticals 제조 건강 제품, 버크홀데리아 스타빌리스균 오염 가능성 있어 리콜
캐나다 보건부는 Eco-Med Pharmaceuticals에서 제조한 초음파 젤, 로션, 마사지 로션 및 손소독제와 소독약을 리콜함. 초반에는 초음파 젤만 리콜했으나 오염원이 밝혀지지 않아 해당 업체의 제품 전체를 리콜하는 것으로 범위를 확대했음.

미국
식품의약국
(FDA)

■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 있는 Felix Custom Smoking 해산물 주의보 발표
FDA는 Felix Custom Smoking 브랜드 해산물이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이 있다며, 소비자에게는 해당 식품을 섭취하지 말고 남은 제품은 폐기하라고 촉구함. 또 업체와 어부들에게는 해당 제품의 유통 및 판매를 중단하라고 권고했음.

미국
식품의약국
(FDA)

■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첫 승인
FDA는 코로나19 백신으로는 처음으로 16세 이상의 코로나19 예방용으로 화이자 백신을 승인했음. 12~15세 개인 및 특정 면역저하자의 3차 접종은 계속해서 긴급사용승인 형태로 허용됨.

미국
식품의약국
(FDA)

■ 55,000여개 가향 전자담배 마케팅 신청서 거절 명령 발부
FDA는 담배 규제 권한 하에 청소년 흡연으로 인한 공공 보건 위험을 극복할 만큼 성인 흡연자 대상 이익이 크다는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향 첨가 전자담배 55,000여개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마케팅 신청서를 거절했음. JD Nova Group LLC, Great American Vapes, Vapor Salon가 신청한 애플 크럼블, 닥터 콜라, 시나몬 토스트 시리얼 등의 가향 전자담배 제품임.

일본
소비자청
(CAA)

■ 휴대용 발전기 및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주의보 발표
소비자청은 휴대용 발전기 및 휴대용 전원공급장치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주의보를 발표했음. 실내에서 휴대 발전기 사용으로 인한 일산화탄소 중독이 의심되는 사망 사고가 발생하고 있음. 최근에는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화재 사고도 발생함.
▲ 휴대용 발전기의 경우, 실내와 그리고 통풍이 안 되는 야외에서 사용하지 말고, 사용 시에는 건물과 시설에서 떨어진 곳에서 사용해야 함. ▲ 휴대용 전원공급장치는 제조 및 판매원이 확실한 제품을 구입하고, 사용 중에는 감전에 주의하며, 리콜 정보를 확인하라고 당부함.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식품 방사성 물질 감시 결과 공표
후생노동성은 식품 중 방사성 물질 검사 결과를 발표함. 후쿠시마현산 꿀 4종과 산지 불명 코시아부라 8종과 오오시메지 버섯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방사성 세슘(Cs-134, Cs-137)이 검출됨.
호주
의약품청
(TGA)


- 원문참조

■ 미표기 처방약 시부트라민 및 타다라필 함유 제품 섭취 금지 주의보 발표
TGA는 라벨에 표기하지 않은 처방약 시부트라민 성분을 함유한 AB SLIM slim-cellulose (캡슐) 제품과 타다라필 성분을 함유한 He Absolute King (봉지 포장) 제품에 대한 섭취 금지 주의보를 발표함. 해당 제품은 건강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섭취를 중단하고 지역 약국에 가져가 안전하게 폐기하도록 함.

호주
경쟁소비자
위원회
(ACCC)

■ ATV 안전 표준 이행 점검 현황 및 향후 2단계 추진 예정
호주에서는 제조업체를 고려해 신규 ATV 안전 표준을 2단계로 나눠 적용 중임. ACCC는 규제 당국이 평가한 ATV의 84%가 신규 표준 1단계를 준수했다고 밝혔음. 1단계 요건은 호주에서 판매되는 새차 및 중고 ATV의 측면 안정성 검사 실시, 바퀴 각도 태그 부착, 전복 주의문구 표기, 사용설명서에 전복 안전 정보 포함임. 올 10월 11일부터는 2단계가 발효되며, 운전자 보호 장치 장착 및 최소 안정성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함.



총 게시물 1130 페이지 1 / 113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30 2025년 6월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27 18
1129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3 55
1128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1 51
1127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49
1126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48
1125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38
1124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26 225
1123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17 217
1122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26 234
1121 2025년 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13 263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