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사고유형

  •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야외 나들이의 증가로 차량이용 급증
  • 어린이의 자동차용 안전장구에 대한 인식부족 및 착용률 저하
  • 제도 및 인식부족으로 통학버스 교통사고의 빈발

예방수칙

차량탑승시

  • 엄마가 아기를 안고 타지 않으며, 어린이 차량 안전장구를 사용하도록 한다.
  • 어린이용 차량 안전장구나 안전벨트를 연령에 맞게 선택하고 설명서를 숙지하여 올바르게 사용한다.
  • 12세 이하의 어린이는 뒷좌석에 앉히도록 한다.
  • 뒤쪽을 향하거나 전환가능한 안전시트는 에어백이 장착된 앞좌석에 앉혀서는 안 된다.
  • 일단 사고가 났던 어린이용 차량 안전장구는 다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보행중

  • 10세 미만의 어린이가 횡단보도를 혼자 횡단하지 않게 한다. 어린이가 교통 안전기술과 판단력을 익힐 때 까지는 성인의 감시가 필수적이다.
  • 어린이가 횡단보도를 건너기 전에는 먼저 좌우를 살피도록 하고 횡단하는 중에는 다시 왼쪽을 살피며 완전히 다 건널 때까지 계속해서 눈을 떼지 않고 살피도록 한다. 횡단보도에서 절대로 뛰어 건너지 않게 한다.
  • 도로를 건널 때에는 통학버스의 3m앞에서 도로를 횡단하도록 하고 어른을 기다릴 때에는 통학버스 승하차 지점과 같은 인도에서 기다리도록 한다.
  • 횡단보도는 우측통행이 안전하지만 일반 도로는 좌측통행이 안전하다.
  • 차도, 도로, 주차장, 도로에 인접한 담이 없는 뜰에서 노는 것을 금지한다.
  • 좁은 이면 도로에서 차가 오면 우선 멈춘 다음 길 안쪽으로 몸을 붙여서 차가 지나갈 때까지 서 있도록 한다.
  • 차를 등지고 통행하는 것이 차를 보면서 통행하는 것보다 사고 위험이 4배나 높으므로 차를 등지고 걷지 않는다.
  • 천천히 걷는 경우보다 뛰면 사고 위험이 7배, 차량 사이 또는 차량 앞, 차량 뒤로 뛸 경우 사고 위험이 18배나 높다.
  • 눈, 비 올 때 등 길이 미끄러울 때는 넘어질 수 있으므로 차로부터 멀리 떨어져 걷는다.

통학버스 이용 시

  • 어린이가 통학버스정류장에 일찍 도착하게 하고 도로에 접근하기 전에 버스가 완전히 멈출 때 까지 기다리게 하고 차가 오는지 잘 살피도록 하며 운전자 사각지대를 피하도록 한다.
  • 버스나 통학버스 안에서는 가만히 자리에 앉아 있도록 하고 머리와 손은 차 밖에 내놓지 못하도록 한다.
  • 버스에서 내릴 때에는 버스가 완전히 정류장에 멈출 때까지 기다리도록 하고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를 사용하여 앞에서부터 내리도록 하고 버스 앞을 지날 때에는 최소 3미터는 앞에서 횡단하도록 한다.
  • 옷자락이나 신발 끈이 끼이지 않도록 잘 여미고 가방이 문이나 손잡이에 걸리지 않게 조심한다.
  • 통학버스 주변을 뛰어다니거나 버스 안의 친구와 장난치지 않게 한다.
  • 통학버스를 타고 내릴 때에는 통학 버스가 완전히 정차한 후, 교사가 타고 내려도 좋다는 신호를 보내면 승차한다.
  • 통학버스에서 내리면 빨리 안전한 보도 위로 올라서도록 한다.
  • 통학 버스 가까이에 물건을 떨어뜨린 경우, 절대로 유아가 줍지 못하게 하고 반드시 운전자에게 말을 한 후 보호자가 줍도록 한다.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