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31113-231117)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409
게시일 2023.11.28
파일
해외  2023.11.13. ~ 11.17.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데이타 테이블 제목
해당기관 주요내용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영유아 식품 잔류농약 연구 결과 발표

EWG에서 새로 발표한 연구 결과, 보통 비유기농 영유아 식품에 잔류 농약이 검출됨. EWG는 58개 비유기농 식품과 15개 유기농 식품의 잔류 농약을 검사한 결과, 비유기농 식품 22개에서 최소 하나의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9종의 잔류 농약이 검출됨. 반면 유기농 식품에서는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음.
1995년에 실시한 연구에서는 영유아 식품 8종에서 농약 16종이 검출됨. 당시는 72개 영유아 식품의 53%에서 최소 하나의 잔류농약이 검출됨. 반면 올해 연구에서는 비유기농 식품의 38%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돼 줄은 경향을 보임. 또한 1995년에는 클로피리포스처럼 평균적으로 독성이 높은 농약이 검출되었으나 검출 농약의 독성도 낮아지는 추세가 확인됨.
미국
소비자연맹
(Consumer
Reports)

■ 여러 브랜드 사과 퓨레 및 소스 제품, 납 오염돼 리콜

Schnucks, WanaBana, Weis 브랜드 사과 퓨레 및 소스는 납 오염 문제로 리콜됨. 오염된 에콰도르산 계피가 원인일 가능성이 있으며 현지 당국과 공동으로 조사 중임. 질병 34건이 이 사건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음.

미국
소비자연맹
(Consumer
Reports)

■ 안전 정보 포함 마사지건 전문가 정보 제공

마사지건은 제품 구입 전 장점, 한계, 주요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마사지건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안내함. ▲ 목표하는 특정 근육 위치를 파악함. 기기를 켜고, 왔다갔다하며 천천히 부드럽게 마사지함. 보통 6~10분이면 충분함. 통증이 느껴지면 즉시 사용을 중단함. 과도한 근육 자극은 손상과 멍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횡문근융해증(근육 세포가 파괴되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음. 운동이나 스트레스성으로 근육이 아플 때는 압력을 세게 하지 않음. ▲ 마사지건은 근육에만 사용하고 관절이나 목과 척추 등 뼈 부위는 피함. ▲ 만성 통증이 있는 사람들은 더욱 주의해야 함. 특히 섬유근육통이 있는 사람 등은 사용 후 통증이 악화될 수 있음. ▲ 골밀도가 약한 사람은 사용 시 주의해야 하며, 수술 부위, 심부정맥혈전증 부위, 심박조율기 등 체내이식기기 주변에는 사용을 피하고 임산부도 사용해서는 안 됨. 손목터널증후군, 피로 골절, 급성 염증에는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됨. ▲ 마사지 건을 사용한 후 통증이 생기거나 증상이 악화되면 의사와 상담할 것. 마사지건을 사용하는 것이 맞는지 걱정되면 구입 전에 의사와 상담할 것. 의사가 사용을 권한다면 마사지사나 물리치료사에게 사용법 등의 자문을 구할 수 도 있음.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완구 관련 사망 및 부상 보고서 발표

CPSC는 완구 관련 사망 및 부상 보고서를 새로 발표함. 나이가 있는 아동이라도 완구를 구입하고 갖고 놀 때는 안전이 중요함을 강조함. 2022년에 12세 이하 장난감과 관련해 사망 11건이 발생했으며, 응급실 치료를 받은 건수는 145,500건으로 추산됨.
사망사고 다수는 소형 부품, 공, 풍선과 관련된 질식 사고이며, 응급실 치료 유발 원인 1위 품목은 킥보드로, 14세 이하 아동의 장난감 관련 부상 1/5을 차지함. 2015년부터 2022년까지 14세 미만용 장난감 관련 부상은 상당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소비자는 유아 장난감을 구입할 때 안전 뿐만 아니라, 특히 온라인 등 구입 장소에도 유의해야 함. 보도자료에서는 온라인 제품 구입 시 유의사항을 안내함.

미국
식품의약국
(FDA)

■ Mid America Pet Food 제조 반려동물 식품 관련 안전 주의보 발령

FDA는 Mid America Pet Food 제조 반려동물 식품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는 살모넬라 키암부(Salmonella Kiambu) 감염 안전 주의보를 발령함. 대상 제품은 Victor, Wayne, Eagle Mountain, Member’s Mark 브랜드 개와 고양이 사료이며, 소매 매장과 온라인을 통해 미국 전역에 판매됨. 현재 사안을 조사 중이며, 필요 시 주의보도 업데이트할 예정임.

미국
농무부
(USDA)

■ 식품안전분석 협의체 2021년도 식품 매개 질병 원인 속성 추정 연례 보고서 발표

부처 합동 식품안전분석 협의체(IFSAC)는 새로운 연례 보고서 <살모넬라균, 대장균 O157 및 리스테리아 관련 식품 매개 질병 원인 속성 추정 - 미국, 2021>을 발표함. 올해 보고서에는 캄필로박터에 대한 추정치는 제공하지 않음. 협의체는 캄필로박터 질병 원인 추정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방법을 모색하고 있음.
IFSAC는 농무부 식품안전검사국(FSIS), CDC, FDA 간 협의체임. CDC는 매년 미국에서 살모넬라균, 대장균 O157, 캄필로박터, 리스테리아 등의 병원체가 약 200만 건의 식인성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함.

유럽
식품안전청
(EFSA)

■ 식품/사료 화학물질 독성 모델링 및 예측 가능 신규 플랫폼 도입

식품 및 사료의 화학물질 안전성 평가 시 동물 실험에 의존해오던 경향에서 윤리적 및 과학적 이유로 최근에 동물 실험을 대체·감소·개선하는 양상임. EFSA는 이를 보완하고자 과학자와 규제기관이 화학물질의 독성동태학(TK, 신체 내에서 물질의 흡수, 분포, 대사와 배설 관계)과 유독성/독성발현학(TD, 물질이 분자, 세포, 조직, 장기, 몸 전체에 상호 작용하는 관계) 속성을 모델링하고 예측할 수 있는 신규 온라인 플랫폼 TKPlate를 도입함.

유럽
식품안전청
(EFSA)

■ 훈연 향료 위해성 평가 관련 질의응답 내용 제공

훈연 향료는 생선, 육류, 유제품 같은 특정 식품을 보존하는데 사용된 오랜 관행인 전통 훈제 방법의 대안으로 사용됨. 훈연 향료는 훈제와 동일한 방부제 기능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음식에 첨가하면 훈제 향을 냄.
EFSA는 10년간 EU 시장에 시판되어, 향후 10년간 갱신 승인이 예정된 훈연 향료 제품 8개의 안전성을 평가했으며 현재 판매 중인 또 다른 2개 제품은 갱신을 요청하지 않음.
EFSA가 연구 결과를 검토한 결과, 평가한 훈연 향료 중 6개가 유전 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안전성 문제를 제기한다는 결론을 내림. 그 외 2개 제품은 데이터 부족으로 인해 안전 문제를 배제할 수 없었음.
유전 독성은 세포의 유전 물질을 손상시켜 세포 내 유전 정보에 변화나 돌연변이를 일으켜 암, 유전병 같은 질병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속성임. 유전 독성은 안전 수준을 정의하는 것이 불가능함.
후속 조치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와 EU 회원국에서 EFSA의 조언을 고려하게 됨. EFSA는 소비자가 훈연 향료의 유전 독성 위험을 줄이려면 균형 잡힌 식단을 섭취하는 것을 권함.

유럽
화학물질청
(ECHA)

■ 연구 필요 분야 파악 목적 2023년 주요 규제 과제 분야 보고서 발표

ECHA는 유해 화학물질로부터 사람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 분야를 파악하는 ‘2023년 주요 규제 과제 분야’ 보고서를 새로 발표함. 다음 분야를 우선 순위 연구 영역으로 지정했음.
- 현재로서 구체적이고 민감한 테스트 방법이 없는 중요 생물학적 효과에 대한 위험 식별 : 발달 및 성인 신경독성, 면역독성 및 내분비 교란 등
- 자연 환경의 화학적 오염 : 생물 축적,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노출 평가
- 동물 실험 대체 : REACH 규정 하에 리드어크로스(read-across, 평가 대상 물질과 유사한 물질의 독성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방법), 어류 테스트 미실시, 독성 연구에 대한 기계적 지원
- 화학물질에 대한 신규 정보 : 고분자, 나노물질, 규제 집행 지원 시 분석 방법

중국 홍콩
소비자위원회
(Consumer
Council)

■ 필링/토닝 패드 조사 결과 발표

소비자위원회는 시판 필링 또는 토닝 패드 28개의 라벨에 표기된 성분, 성분 농도, 사용자 설명서 등을 조사했음.
사용 후 씻어내는 2개 모델에서는 일반 소비자가 전문가의 감독 없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활성 성분인 글리콜산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높게 나타남.
사용자 설명서는 사용 방법, 적용, 사용 빈도, 시간 등의 표기에 큰 차이가 있었음. 일부 모델은 성분, pH 값, 제조/유통기한, 패드 재질 등 중요 정보를 명확하게 표시하지 않았으며, 특정 모델의 사용자 설명서는 쉽게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 위원회는 제조업체에 사용자 설명서의 표시사항을 개선할 것을 촉구함.
활성 성분이 고농축된 제품은 맹목적으로 바르거나, 제품 사용 시간을 늘리며, 여러 필링 제품을 동시에 사용하는 등 제품을 오용하면 피부에 과다 색소 침착이나 흉터가 생길 수 있음. 이러한 제품을 처음 사용하는 사람들은 농도가 낮은 제품을 선택하고 너무 자주 사용해서는 안 됨. 또한 피부 알러지가 발생하기 쉬운 사람은 매번 제품을 사용한 후 피부 상태에 더욱 세심히 주의를 기울여 관찰해야 함.

중국 홍콩
소비자위원회
(Consumer
Council)
■ 중형 캐리어 내구성 테스트 결과 발표

소비자 위원회는 지퍼 잠금장치가 있는 중형 사이즈 캐리어 15개의 내구성과 화학물질 테스트를 실시함.
제품을 10가지 테스트 항목에 따라 테스트한 결과, 마모 또는 손상 정도는 다양했음. 일부 모델은 더욱 심각했음. 6개 모델은 접어넣을 수 있는 손잡이나 손잡이 고정 장치가 끊어지거나 느슨해졌거나 외관이 깨졌음. 대부분의 모델은 방수 기능이 없었음.
손잡이 1개의 프탈레이트 농도는 EU REACH 기준을 45배 초과해 생식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제품도 있었음. 다른 모델의 접이식 손잡이에는 발암 가능성이 있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가 더 높은 농도로 검출됨.
소비자는 여행 캐리어를 구입하기 전 내구성과 A/S를 잘 비교해봐야 하며, 고가의 제품이 수명이 더 길진 않다는 점을 유념해야 함.
중국 홍콩
소비자위원회
(Consumer
Council)

■ 땅콩버터 조사 결과 발표

소비자위원회가 시판 유명 땅콩버터 시료 20개를 조사한 결과, 땅콩버터 시료 60%에서 간 기능 손상을 일으키는 아플라톡신이 검출되었으며, 2개 시료의 아플라톡신 B1 수치는 유럽연합 기준을 초과했음.
땅콩버터에는 건강한 불포화지방산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시료 95%가 고지방 식품으로 분류돼 장기간 과다 섭취할 경우 비만을 유발하고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소비자는 섭취량에 주의하고 적당히 섭취해야 함.



총 게시물 1124 페이지 1 / 113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24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3.26 126
1123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3.17 128
1122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2.26 148
1121 2025년 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2.13 176
1120 25년 1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1.24 227
1119 2025년 1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1.14 181
1118 2024년 1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4.12.26 212
1117 2024년 1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4.12.13 191
1116 2024년 11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4.12.02 186
1115 2024년 11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4.11.25 211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