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2025년 7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22
게시일 2025.07.10
파일
해외  2025.7.01. ~ 7.11.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외안전정보 동향(250701-250711) 상세내용 - 해당기관, 주요내용 정보제공
해당기관 주요내용
미국
제품안전위원회
(CPSC)
미국 독립기념일 기념 불꽃놀이 시 안전 Tip

CPSC는 미국 독립기념일(7월 4일)을 맞이하여 불꽃 놀이를 즐길 경우 안전에 유의할 것을 소비자에게 촉구함. 미국에서 2024년 불꽃놀이 관련 사망사고 11건, 부상자 14,700명이었으며, 이는 2023년 대비 사망 38% 증가, 부상은 약 52% 증가한 수치임. 대부분은 오사용 또는 오작동(오발)로 인한 사고였고, 부상자 중 가장 많은 연령대는 25세~44세(32%), 다음은 15세~24세(24%)였음. 가장 많은 부상 부위는 손(손가락)(36%), 머리(얼굴, 귀)(22%)였고, 가장 큰 부상 원인은 화상(37%)이었음. CPSC는 아래의 불꽃놀이 안전수칙을 당부함. - 어린이가 불꽃놀이를 가지고 놀거나 점화하지 않도록 할 것. - 일부 불꽃놀이는 약1,093도로 타며, 금속도 녹일 수 있는 온도임. - 화재나 기타 사고에 대비해 물 양동이나 정원용 호스를 가까이 둘 것. - 불꽃놀이가 합법제품인지 확인하고 소비자용으로 표시된 제품만 구매하고 사용할 것. - 술이나 약물에 취한 상태에서 불꽃놀이를 사용하지 말 것. - 1회에 1개씩 점화하고 점화 후 바로 일정거리 이상 뒤로 물러날 것. - 발사되지 않은 폭죽을 다시 점화하거나 손에 들지 말 것. - 사용 전 설명서와 경고문을 읽고, 손에 들고 사용해도 된다는 지시가 없는 한 들고 있지 말 것.
일리노이
소방청

■일리노이주 소방청 ’리튬이온배터리 안전’ 캠페인 실시

충전 가능한 모든 전자제품(스마트폰, 태블릿, 전동 공구, 정원 도구, 노트북, 전자담배, 음향기기(헤드폰 등), 어린이 완구)이 리튬이온 배터리로 작동함. 미국의 전국 화재 예방 주간(2025년 10월 5일~11일)의 주제는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임. 올해 화재 예방 주간 캠페인은 가정 내 화재 예방을 위한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 사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일리노이주는‘안전하게 구매하고, 충전하고, 재활용하자’는 접근 방식을 통해 1년 내내 연중 안전 메시지를 널리 알리고,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더 안전한 일리노이주를 만드는 데에 기여하겠다고 다짐함. 일리노이주 소방청은 화재예방협회(NFPA)의 안전수칙을 공유하며 아래와 같이 당부함. - 국가 공인 시험기관(NRTL)의 인증을 받은 배터리를 구매하고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할 것. - 배터리는 충전이 완료되면 즉시 충전을 중단할 것. - 기기와 호환이 되는 충전 장비만 사용할 것. (기기 제조사에서 제공한 충전기를 사용하는 등) - 배터리에서 이상한 냄새, 과도한 열, 이상한 소리, 부풀어오름, 색상 변화 등 손상 징후가 보이면 즉시 사용을 중지할 것. - 모든 수리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전문가에게 맡길 것.

매사추세츠
보건부

■매사추세츠 주 여름 기본 안전 예방 수칙 권고

(진드기 물림 예방) 라임병 등 사람에게 질병을 옮기는 진드기는 덤불이 우거진 숲 등에서 발견되어 하이킹 등 야외활동 중 위해를 입을 수 있음. -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사용 설명서의 지침에 따를 것. - 밝은 색 긴팔옷, 긴바지를 착용, 양말 속에 바지를 넣어 진드기 접근을 막을 것. - 외출 후 샤워로 진드기를 씻어내고, 붙어있는 진드기는 핀셋 등으로 즉시 제거할 것. - 반려동물 진드시 예방에 주의할 것. (광견병 노출 예방) 광견병에 걸린 동물(야생동물)의 침이 사람에게 닿을 때에 전염되며 매사추세츠에서는 매년 100마리 이상의 감염동물(너구리, 박쥐, 여우, 스컹크, 마멋 등 야생동물)이 발견됨. - 낯선 야생 동물에 절대 가까이 가지 말고 애완동물로 키우지 말 것. - 반려동물은 광견병 예방접종을 정기적으로 할 것. - 외부에 반려동물 먹이를 두지 말고 쓰레기를 꼭 뚜껑을 닫아 놓을 것. - 야생동물 유입을 막기 위해 집의 틈(굴뚝, 덮개, 베란다, 지하실 틈 등)을 보수할 것. (물놀이 안전) 익사는 어린이 사망의 주요 원인임. - 지정된 수영 구역에서만 수영하고, 어린이는 항상 가까이서 지켜볼 것. - 어린이는 물가에 갈 때 허락을 받도록 교육할 것. - 머리부터 다이빙하지 말 것. - 폭풍·번개 등 악천후 시 수영 금지. - 수영을 못할 경우, 얕은 곳에서 놀거나 구명조끼를 착용할 것 (팔 튜브 등 장난감은 구명도구가 아님) - 이안류에 휩쓸리면 해안선과 평행하게 헤엄쳐 나올 것. - 일행이 실종되면 후 구조요원에게 알릴 것.

EU
집행위원회

■EU어린이 활동용(Activity) 완구 상당수(83%)가 안전기준 부적합

EU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활동용 완구 상당수(89개 샘플 중 83% 즉, 74개)가 EU의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상기는 EC의 산업 총국(DG GROW)가 주관한 JACOP 2024 점검 캠페인의 결과임. 동 조사는 그네, 클라이밍 프레임, 정글짐(activity towers) 등 총 89개 샘플을 대상으로 스페인의 공인 실험실에서 수행됨.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함이 발견됨. - 제품 안전성 미흡 - 머리, 목, 손가락, 옷 등 끼임 - 조립이 어렵거나 설명 부족 - 허용 높이 초과 - 삼킴 위험 있는 작은 부품 - 날카로운 모서리 EU 안전 기준을 충족한 제품은 전체의 17%(15개)에 불과 했음. 89개 조사대상의 경고문, 라벨, 설명서 적절성 점검 결과, 안전 요건을 충족한 것은 29개(32.5%)에 불과했음. 판매 국가의 언어가 아닌 경고문 사용, 불완전한 조립 설명서, 라벨 누락 등이 주요 문제였음.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EU의 제품안전당국은 20개 제품에 대해 리콜 명령, 8개 제품에 대해 시장 철수, 8개 제품은 판매 금지, 3개 제품에 대해 제품 구조 변경 명령, 3개 제품에 대해 경고 라벨 부착 지시를 명함.



총 게시물 1131 페이지 1 / 114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31 2025년 7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7.10 23
1130 2025년 6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27 69
1129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3 83
1128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1 77
1127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76
1126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71
1125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6.10 56
1124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26 243
1123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3.17 240
1122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2.26 250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