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2025년 10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37
게시일 2025.10.30
파일
해외  2025.10.15. ~ 10.31.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외안전정보 동향(251015-251031) 상세내용 - 해당기관, 주요내용 정보제공
해당기관 주요내용
미국
환경그룹
(EWG)
■ 미국 내 주별 식품 화학물질 규제 추적

미국 환경 활동그룹(EWG)은 화학물질에 대한 주별 규제 현황을 대화형 지도 형태로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보다 안전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음. 2023년 캘리포니아는 유해 화학물질 4종(브로메이트 칼륨, 프로필 파라벤, 레드 염료 No.3, 브로메이션된 식물성 기름)을 금지하는 법을 제정했으며, 2024년에는 공립학교 식품에서 특정 색소를 금지하는 법안도 시행함. FDA는 해로운 식품 성분을 규제하는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2000년 이후 승인된 식품 화학물질의 99%는 FDA가 아닌 식품 및 화학 산업에 의해 승인됨. 이에 따라, 여러 주에서는 유해 화학물질을 금지하는 법안을 도입하고 있으며, EWG는 대화형 지도를 통해 각 주의 규제 현황을 제공하고 있음.
미국식품의약국
(FDA)

■ 방사선 주파수(RF) 마이크로니들링의 잠재적 위험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25년 10월 15일, 소비자, 환자 및 의료 제공자들에게 고주파(RF) 마이크로니들링 기기가 특정 용도로 사용될 때 심각한 합병증이 보고되었다고 알림. RF 마이크로니들링 장치는 작은 전극 배열(마이크로니들)을 사용하여 RF 에너지를 피부 속으로 전달하여 국소적인 열을 발생시킴. 피부의 외모를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주름 치료나 피부 효과를 위한 시술에 사용됨. 그러나 이러한 장치의 사용과 관련하여 화상, 흉터, 지방 손실, 변형, 신경 손상 등 심각한 합병증이 보고됨. FDA는 피부과 또는 미용 시술에 사용되는 RF 마이크로니들링 기기의 심각한 합병증 발생위험을 파악하여 부작용 보고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중요한 새로운 정보가 나오면 대중에게 알릴 예정임. 또한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문제를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 있음.

미국화재예방
협회

■ 할로윈 화재 위험 증가: NFPA, 안전 수칙 강조

미국소방협회(NFPA)는 2025년 10월 22일, 할로윈을 앞두고 장식, 양초, 의상 등으로 인한 화재 위험을 경고하며, 안전한 장식 사용과 화재 예방 수칙을 안내함. NFPA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연 평균 832건의 주택 화재가 장식에서 시작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인명피해로 3명의 사망, 28명 부상이 보고되었고, 직접적인 재산피해도 170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할로윈 간 동안 발생한 화재의 약 47%가 장식이 열원(촛불, 전구, 히터)과 너무 가까이 배치되어 발생했으며, 약 33%는 장식이 전구나 조명 장치와 접촉하여 발생함. 또한, 20%의 화재는 양초 사용으로 인해 발생함.

EU
집행위원회

■ EU, 폐기물 관리 기본지침 개정안 시행

025년, 10월 16일, 유럽연합(EU)은 폐기물 관리 기본지침 (Waste Framework Directive) 개정안을 시행하여 섬유 및 식품 폐기물 분야에서 순환 경제를 촉진하고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규정을 도입함. 섬유 및 의류 산업은 EU 내에서 중요한 경제적 역할을 하며, 2023년 기준 1,700억 유로의 매출액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19만 7천개 기업에 130만명이 고용되어 있는 산업임.하지만 섬유 생산과 소비는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2020년, EU에서 섬유 산업은 물과 토지 사용에 있어서 세 번째로 큰 영향을 미친 소비 분야였으며, 원자재 사용과 온실가스 배출 측면에서는 다섯 번째로 높은 영향을 미침. 또한, 섬유 폐기물은 심각한 문제로, 2019년에 약 1260만 톤의 섬유 폐기물 발생하였고 그중 5분의 1만이 재사용이나 재활용에 이용됨.

홍콩
식품안전센터
(CFS)

■ 두부 샘플에서 과도한 바실러스 세레우스 검출

홍콩 식품안전센터(CFS)은 2025년 10월 13일, 중국산 발효 두부 제품에서 과도한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가 검출되어 해당 제품의 섭취를 중단하고 즉시 판매를 중지할 것을 소비자와 유통업체에 권고했음.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환경에서 흔히 발견되는 세균으로, 비위생적인 식품 가공 및 저장 조건에서 증식할 수 있음. 이를 과도히 섭취하게 될 경우 구토나 설사 등의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음. CFS는 식품 감시 프로그램에 따라 완차이 지역의 슈퍼마켓에서 수집한 샘플을 검사한 결과, 1그램당 바실러스 세레우스가 180,000 마리 검출되었음을 밝힘. 홍콩 식품 미생물 지침에 따라 식품에서 100,000마리 이상이 검출되면 부적합 기준에 해당함. CFS는 해당 수입업체에 제품 판매 중지 및 리콜을 명령하였으며, 소비자들에게는 제품 섭취를 중단하고 섭취 후 불편함을 느낄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할 것을 권고함.



총 게시물 1137 페이지 1 / 114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37 2025년 10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10.30 38
1136 2025년 10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10.20 82
1135 2025년 9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10.01 110
1134 2025년 9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9.12 145
1133 2025년 8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9.02 162
1132 2025년 8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9.02 141
1131 2025년 7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7.10 270
1130 2025년 6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6.27 242
1129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6.13 265
1128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6.11 239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